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예대금리차(대출금리-예금금리)가 2년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벌어졌다.
3일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 따르면 지난 1월 5대 은행의 예대금리차(정책서민금융 제외)는 평균 1.38% 포인트로 집계됐다. 2022년 8월(1.39% 포인트) 이후 2년 5개월 만에 가장 크게 차이 났다. NH농협의 예대금리차가 1.46% 포인트로 가장 컸고 이어 신한(1.42% 포인트) 하나(1.37% 포인트) 우리(1.34% 포인트) KB국민(1.29% 포인트) 순이었다.
예대금리차는 은행이 돈을 빌려주고 받는 대출금리와 예금자에게 지급하는 금리 간 격차로 은행 수익의 핵심 기반이다. 예대금리차가 클수록 이자를 통한 이윤이 그만큼 많다는 의미다.
금리 인하기에 은행 예대금리차가 확대되는 건 이례적이다. 기준금리 인하 등으로 시장금리가 낮아지는 시기엔 보통 대출금리가 예금금리보다 빨리 내려 예대금리차가 줄어드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5대 은행의 예대금리차는 오히려 지난해 8월 이후 6개월 연속 확대 추세다. 예금금리는 즉각적으로 조정하면서 대출금리는 가계부채 관리를 명목으로 시장금리 인하분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은 결과로 풀이된다.
지난 1월 5대 은행의 가계대출 금리(정책서민금융 제외)는 평균 4.44%로 지난해 12월(4.39%)보다 0.05% 포인트 상승했다. 6개월 전인 지난해 7월(3.86%)과 비교하면 0.58% 포인트 높다. 같은 달 예금금리(저축성수신금리)는 3.06%로 전월(3.23%) 대비 0.17% 포인트 내렸다. 지난해 7월(3.43%)보다는 0.37% 포인트 낮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