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을 반대하는 장외 집회 규모는 커졌지만 탄핵 반대 집회에 기댄 채 좌고우면하고 있는 국민의힘 지지율은 계속 떨어지고 있다. 거리에서 들리는 목소리 크기와 달리 정권 교체 여론은 정권 연장 여론과의 격차를 점점 벌리고 있다. 국정을 책임지고 관리해야 할 여당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공격에만 매달린 채 지지층 눈치를 보고 있기 때문이다. 국회 다수당의 횡포에 일정 부분 공감해줬던 중도층조차 너무도 무기력한 여당의 모습에 점점 등을 돌리는 모양새다.
중도층의 실망감은 국힘이 자초한 측면이 크다. 민생 현안이 산적한 상황에서 국정을 이끌어야 할 여당이 줄곧 야당 탓만 하고 있는 건 무책임한 일이다. 헌법재판소에 대한 공격에 가담해 탄핵 심판에 어깃장을 놓는 듯한 모습, 부정선거론 등 계엄을 정당화하는 논리에 동조하는 듯한 모습도 여당에 등을 돌리는 이유다. 장외 집회 등에서 잇따라 터져 나오는 극단적 발언은 여당의 정체성마저 의심하게 한다. 그제 서천호 의원은 집회에서 “불법과 파행을 자행하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선거관리위원회, 헌법재판소, 모두 때려 부숴야 한다. 쳐부수자”라고 했다. 국가기관을 겨냥한 집권당 의원의 이 같은 과격 발언은 집회에 참석한 청중의 박수를 받았을지 모르나 중도층의 지지는 스스로 걷어찬 것이나 마찬가지다. 최근 발표된 여론조사 등에서 정권 교체 의견이 정권 연장 의견을 오차 범위 밖에서 앞선 것은 이러한 모습에 실망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어제 리얼미터 조사에 따르면 일주일 전 같은 조사에서 3.7% 포인트에 불과했던 정권 교체와 정권 연장 의견의 차이는 16.1% 포인트로 벌어졌다. 특히 중도층에서 정권 교체(60.6%) 여론은 정권 연장(33.6%) 여론보다 거의 2배나 많았다.
비상계엄 당시 폭락했던 국힘 지지율은 올해 초 한때 민주당을 앞서기도 했으나 2월 중순부터는 다시 급락세로 돌아섰다. 야당의 전횡을 경계했던 중도층이 여당에 대한 지지를 거둬들인 영향이 컸다. 여당이 여당답지 못한 채 책임 회피만 하고, 합리적 보수가 아닌 극우의 논리에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국힘이 더 많은 국민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는 다수당인 민주당을 설득하고 필요하다면 양보도 하면서 현안을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아울러 국가기관을 부정하는 식의 극단적 주장에서는 탈피해야 한다. 국정을 책임지는 여당이 국가기관을 공격하는 것은 제 발등을 찍는 꼴 아닌가.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인용돼 조기 대선 국면이 펼쳐질 경우 캐스팅보트를 쥐고 있는 중도층의 여론은 승부를 가르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국힘은 중도층과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 지금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깊이 성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