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째 이어지는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은 의사 수 부족 사태 해법을 가로막는 반사회적 행위이자 의료계 카르텔에 편승한 집단 이기주의다. 특히 의료계가 올해 의대에 진학한 신입생들에게까지 휴학을 강요하는 것은 범죄 행위다.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 휴학하지 않은 학생들의 신상 정보를 유출하거나 이들을 압박하는 반지성적 행태를 중단해야 한다. 당국은 의대생들의 휴학 강요 행위를 엄단해야 한다.
봄학기 수강신청을 마친 의대생은 4219명에 그쳤다. 전국 의대 재적생 5명 중 1명꼴에 불과하다. 그나마 지난해 휴학생 비율이 95%에 달했던 걸 감안하면 수업 참여 학생 수가 조금 늘었다는 것은 긍정적이다. 그런데 전국 40개 의대 중 수강생이 0명인 곳이 10개로 나타났다. 수강생이 0명이라는 것은 기존 재학생뿐 아니라 올해 의대에 진학한 신입생들도 모두 수강신청을 거부했다는 뜻이다. 19년 만에 의대 정원을 늘린 정부 방침의 혜택을 입고 의대에 진학한 신입생들이 비싼 등록금을 내고도 수강신청을 하지 않은 것은 의료계의 노골적인 휴학 강요 탓이다. 대부분의 대학에서 신입생은 군 입대나 질병 등의 사유가 아니면 일반 휴학이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등록금을 돌려받지 못한다. 신입생들에게 경제적 불이익을 감수하고서라도 집단 휴학에 참여하도록 강요하는 것은 협박죄다. 오리엔테이션이나 대학 생활 설명회 등을 빙자해 신입생들의 전화번호 등 연락처를 입수한 뒤 휴학 동참을 강요한 것이라면 대학의 정상적인 업무를 방해한 것이다.
메디스태프 등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휴학에 동참하지 않는 학생들의 신상 정보를 유출하거나 이들을 비하하고 있는 것도 이성을 잃은 행동이다. 메디스태프에는 대학별 휴학률이 실시간 업데이트되면서 휴학률이 낮은 학교를 조롱하는 글들이 게재되고 있다. 의대 신입생들에 대한 휴학 압박을 비판하는 기사에는 ‘그래서 니들이 뭘 할 수 있는데’, ‘법적으로 어떻게 처벌할 건데’ 등 댓글도 달렸다. 집단 따돌림을 암시하거나 사이버 폭력을 저지르고도 아무런 죄책감을 갖지 않는 이들의 오만한 선민의식이 놀랍다. 사법 당국은 불법 행동을 주도하는 이들을 발본색원해야 한다. 교육부와 대학 당국은 피해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고 구제하는 조치도 강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