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vs 전북… 2036 하계 올림픽 유치 후보지는?

입력 2025-02-28 01:17
대한체육회가 입주해 있는 올림픽회관 건물. 연합뉴스

대한체육회는 28일 서울 송파구 서울올림픽파크텔 올림피아홀에서 열리는 대의원총회에서 2036 하계 올림픽 유치 후보 도시를 최종 결정한다. 서울특별시와 전북특별자치도가 도전장을 내밀면서 ‘수도권 vs 지역’ 구도가 형성된 가운데, 종목단체 대의원들의 손에 두 광역단체의 운명이 결정된다.

오세훈 서울시장과 김관영 전북지사가 각각 45분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한 후 평가위원회의 조사 결과 보고에 이어 대의원들의 무기명 비밀투표에 따라 최종 후보지가 낙점된다. 다른 안건과 달리 올림픽 국내 유치 도시 선정 투표는 체육회 정관상 전체 대의원 120여명 중 올림픽 38개 종목의 대의원 2명씩 총 76명에게만 투표권이 부여된다.

38개 종목단체는 31개 하계 올림픽 종목과 7개 동계 올림픽 종목으로 구성된다. 다만 하계 종목 가운데 축구의 경우 전날 회장 선거가 끝나 집행부 구성이 완료되지 않은 탓에 투표인단에 포함되지 않았다. 체육회 관계자는 “당선자가 결정되기는 했으나 하루 만에 인준 절차를 밟기 어려워 축구 종목은 투표에 참여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두 광역단체가 최근까지 치열한 유치전을 펼쳐온 만큼 박빙 구도가 예상되지만, 인프라 면에선 서울시가 앞서 있다는 평가다. 국제공항과 가까워 접근성이 좋고 1988 서울올림픽 시절 갖춰 놓은 시설들이 많아서다. 경기장이나 선수단 숙소 등을 새로 지을 필요성이 적어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추구하는 ‘저비용 고효율’ 기조에 부합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북도에 비해 종목단체의 표심 잡기 작업이 늦어져 결과를 예단할 수 없다.

이에 맞서는 전북도는 ‘지역 균형’을 핵심 가치로 내걸었다. 정강선 전북체육회장은 27일 국민일보에 “호남뿐 아니라 대구, 부산, 충청권 등 비수도권 지역들이 모두 연대하기로 했다”며 “2032 하계올림픽 개최지가 호주 브리즈번으로 결정된 사례처럼 기존 시설을 이용하고 지역에서 연대하면 IOC 방침을 따르면서 성공적으로 올림픽을 유치시킬 수 있다”고 전했다.

이누리 기자 nur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