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연례 정치행사인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가 다음 달 4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막을 올린다. 미국의 관세·무역 전쟁에 대응해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 산업 육성과 민간기업 지원책이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26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국정자문기구인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가 3월 4일, 국회 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5일 개막해 약 일주일간 진행된다.
리창 국무원 총리가 전인대 개회식 때 정부 업무보고를 통해 올해 경제성장 목표를 제시하는데 지난해와 같은 ‘5% 안팎’이 될 가능성이 크다. 세계은행이 올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지난해보다 낮은 4.5%로 예상한 만큼 쉽지 않은 목표다. 하지만 올해는 중국 1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2021~2025년)의 마지막 해라는 상징성이 있어 성장률 목표치를 하향하기도 쉽지 않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경제성장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극적인 경기 부양책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최대 3조 위안(592조원)의 특별국채를 발행하고 재정적자 규모를 국내총생산(GD P)의 3%에서 4%로 높여 1조3000억 위안(267조원)을 조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제2의 딥시크’ 육성을 위해 AI 등 과학기술에 대한 투자도 늘릴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3조6000억 위안(710조원)이었던 중국의 연구·개발(R&D) 투자액이 올해는 4조 위안(79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에 대해 어떤 외교정책을 펼지도 관심사다. 트럼프 행정부는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첨단 반도체 수출통제를 강화했지만 중국은 비교적 절제된 대응을 보이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최근 공산당 중앙위원회 등으로부터 연례 업무보고를 받은 뒤 “정치 능력을 강화하고 국내외 정세 변화로 인한 도전에 침착하게 대응하며 안정 속에서 발전을 추구하는 기본 기조를 견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고품질 발전을 착실히 추진하며 개혁을 심화하고 대외 개방을 확대해 경제가 지속해서 회복·개선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 주석이 당국자들에게 침착한 대응을 주문한 것을 두고 블룸버그통신은 “중국이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무역·투자 규제에 신중한 접근 방식을 취할 것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베이징=송세영 특파원 sysoh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