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국가·지역전략사업’으로 지역 경제 재도약을 노린다.
경남도는 25일 발표한 국토교통부 주관 ‘개발제한구역 국가·지역전략사업’ 공모에서 전국 15개 사업 중 4개 사업이 선정됐다. 진해신항 항만배후단지, 창원 도심융합기술(R&D)단지, 진영테크업 일반산업단지, 도심생활 복합단지 사업이다. 개발제한구역 내 1092만㎡를 개발할 수 있게 됐다.
진해신항 항만배후단지는 진해·부산항 신항의 물동량 증가, 항만 증설 및 가덕도 신공항 건설 등에 대비한 물류 거점화 사업이다. 트라이포트(항만·공항·철도) 기반의 첨단 복합 물류 플랫폼을 구축한다. 육상 개발 방식으로 신속한 사업 추진과 토지 이용의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창원 도심융합기술(R&D)단지는 국립창원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전기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재료연구원, 조선해양기술연구원 등이 협력해 창원대에 국책연구원을 설치하고, 지역 핵심 산업과 연계한 연구개발을 담당하는 사업이다. 산학연 협력으로 지역 전략산업의 연구개발을 활성화하고, 청년층이 선호하는 ‘도심형 첨단산업 좋은 일자리’를 늘려 지역경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방산 소재·부품 연구개발, 기업 지원, 인력 양성 플랫폼도 조성해 지역 방위산업을 선도하는 R&D센터도 구축할 예정이다.
김해 진영테크업 일반산업단지’는 부산, 울산시와 가깝고 우수한 교통인프라 등의 입지적 강점을 활용해 미래 모빌리티, 수소, 로봇, 전력반도체 산업을 육성하게 된다.
도심생활 복합단지는 경남 지역 외국인력 유입 증가와 초고령화 대응을 위한 사업이다. 마산역 주변 노후화된 주거 및 상업, 공공시설을 재정비하고 복합 개발할 방침이다.
재심의가 결정된 ‘창원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업단지’에 대해서는 사업 계획 등을 보완해 다시 추진키로 했다.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국가·지역전략사업 선정을 통해 대규모 개발 가용지를 확보하면서 지속 가능한 성장 발판을 마련했다”며 “희망의 경남을 열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