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항공청이 누리호의 뒤를 잇는 차세대 발사체를 재사용 발사체로 개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우주청은 기존 사업 계획을 변경하고 관련 행정 절차에 착수할 예정이다. 미국 민간 우주 기업 스페이스X가 재사용 기술로 수송 비용을 대폭 낮춘 것처럼 우리의 차세대 발사체도 경제성을 갖추기 위한 취지다.
우주청은 25일 제3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열고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 개선 추진 계획 등 7개 안건을 심의했다고 밝혔다. 우주청은 오는 2032년 달 탐사와 함께 재사용 실증 비행 시험을 거친 뒤, 2035년 완전 재사용 기술을 확보해 연 20회 이상 발사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당초 차세대 발사체는 일회성으로 개발될 예정이었다.
윤영빈 우주청장은 전날 사전 브리핑에서 “차세대 발사체 임무인 달 착륙선을 보내는 과정에서 발사체가 과연 경제성이 있는지 고민하게 됐다”며 “스페이스X가 전 세계 발사 횟수의 절반 이상, 상업용 발사체 시장의 80%를 차지하는 이유는 재사용에 따른 저비용 발사체이기 때문”이라고 사업 변경 배경을 설명했다. 윤 청장은 “달 착륙선 자력 발사와 경제성 있는 국가 우주 발사체 개발이라는 두 가지 과업을 동시에 달성할 방안을 논의해야 할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다음 달 초부터 차세대 발사체를 재사용으로 전환하는 우주청의 사업 계획 변경을 검토하는 행정 절차가 시작된다. 사업 변경안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특정평가와 기획재정부의 적정성 재검토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기존 차세대 발사체 사업 예산(2조132억원)이 조정될 가능성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재사용 발사체 기술을 조기 확보하려면 예산이 증액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업 개편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차세대 발사체 사업을 둘러싼 지식재산권 갈등이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도 관심사다. 우주청은 양측 갈등을 중재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윤 청장은 “세계 시장 진출을 위한 저비용 발사체를 갖고자 하는 개선안이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분명 동의하리라 생각한다”며 “지재권 문제도 풀어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주청은 재사용 발사체와 궤도수송선(OTV), 초고해상도 및 초저궤도 인공위성, 다층 궤도 항법 시스템, 제4 라그랑주점(L4) 우주 관측소와 달 착륙선 사업을 ‘브랜드 사업’으로 선정해 집중 추진할 계획이다. 우주청은 이날 국가우주위에서 우주청 신청사 입지가 경남 사천시 경남우주항공국가산업단지(사천지구)로 최종 선정됐다고도 밝혔다.
조민아 기자 minaj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