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뮤직 약진에 5대 토종 음원사 고사 위기

입력 2025-02-26 00:52

세계 최대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유튜브를 등에 업은 유튜브뮤직이 국내 시장을 집어삼키고 있다. 토종 사업자 가운데 1위인 멜론을 제외하고는 국내 업체 모두 적자의 늪에 빠진 상황이다. 정부와 업계 모두 이런 비정상적인 시장구조가 형성된 원인으로 구글의 ‘유튜브뮤직 끼워팔기’를 지목하고 있지만 이와 관련한 제재는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는 모양새다.

25일 음원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유튜브뮤직은 월간활성이용자(MAU) 748만명을 기록했다. 지난 20여년간 업계 1위를 지켜온 국내 최대 음원 플랫폼 멜론(693만명)마저 제쳤다. 지니뮤직(282만명) 플로(209만명) 바이브(57만명) 벅스(36만명)는 큰 차이로 따돌렸다.


유튜브뮤직이 압도적인 성장세를 보이는 배경에는 구글의 ‘끼워팔기’가 자리잡고 있다. 해외와 달리 한국에서는 유튜브뮤직만 단독으로 구독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유튜브 프리미엄을 구독하면 유튜브뮤직이 함께 따라오는 구조다. 미국에서 유튜브뮤직(10.99달러)을 유튜브 프리미엄(13.99달러)과 분리해 21.4% 저렴하게 판매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음원 업계는 유튜브뮤직의 이 같은 영업 전략이 국내 업체들의 고사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현재 카카오가 운영하는 1위 업체 멜론을 제외하고는 5대 음원 업체가 전부 사실상 적자 상태다. 이들은 전자책·영상·공연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히며 활로를 모색하고 있지만 정작 음원 사업 자체의 수익성은 개선되지 않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5대 음원 업체 모두 모기업이 적자를 감수하고도 억지로 운영하고 있을 뿐, 이대로라면 언제 영업을 종료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구글의 유튜브뮤직 끼워팔기에 시장지배력 남용 소지가 있다고 판단하고 관련 조사를 진행하고 있지만 아직 이렇다 할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공정위는 지난해 7월 공정거래법 위반 의혹 관련 제재 의견이 담긴 심사보고서를 구글에 발송했고 최근에야 이에 대한 구글의 의견서를 회신받았다. 이후 전원회의가 열려야 최종 제재 수위가 확정되지만 공정위는 전원회의 개최 시기를 잡지 못한 상황이다.

업계는 음원 플랫폼의 생존 여력이 다하기 전에 공정위가 빠른 결론을 내려야 한다고 호소한다. 음원 플랫폼 관계자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구글에 제재를 가하는 국가가 되는 것을 부담스러워해 공정위가 전원회의 일정을 미루는 게 아닌가 싶다”며 “음원 업계 고사라는 최악의 상황이 오기 전에 끼워팔기에 대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훈 기자 germa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