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정상회담을 열고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과 안전 보장 방안을 논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조기 종전에, 마크롱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주권과 안보 확보에 방점을 찍으면서 미묘한 시각차를 드러냈다. 두 정상은 우크라이나의 전후 안보를 위해 유럽이 평화유지군을 파병하는 방안에는 뜻을 모았다.
트럼프와 마크롱은 우크라이나 전쟁 3년을 맞은 이날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트럼프는 회담 뒤 공동기자회견에서 “이제 이 유혈사태를 끝내고 평화를 복구할 때”라며 “나는 마크롱과 여러 중요한 이슈에 의견을 같이하고 있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지금이 (종전의) 적기이며 어쩌면 유일한 시기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회담 모두발언에선 “우리가 현명하다면 수주 안에 전쟁이 끝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마크롱은 회견에서 “평화가 우크라이나의 항복을 의미해서도, 안전 보장이 없는 휴전을 의미해서도 안 된다”며 “우리는 빠른 평화를 원하지만 약한 협의를 원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종전 뒤 우크라이나에 유럽의 평화유지군을 파병하는 데는 두 정상의 의견이 일치했다. 마크롱은 회담 전 “우리의 공동 목표는 우크라이나에 견고하고 지속적인 평화를 구축하는 것”이라며 “유럽인들은 우크라이나를 다양한 방법으로 지원할 준비가 돼 있다. 여기에는 평화가 존중되는지 감시하는 군대가 포함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들은 전선에 배치되거나 분쟁에 참여하지 않고 평화가 지켜지는지 확인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는 “유럽의 평화유지군을 우크라이나에 배치하는 것에 문제가 없다고 본다”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이를 받아들일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는 또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광물 협정 서명을 위해 이르면 이번 주 워싱턴을 방문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나는 젤렌스키를 만날 것이다. 그는 이번 주 또는 다음 주에 협정에 서명하기 위해 올 수도 있다”며 “지금 협상이 진행되고 있다. 거의 최종 합의에 가까워졌다”고 말했다. 트럼프는 푸틴과의 만남에 대해선 “적절한 시기에 모스크바를 방문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푸틴도 독재자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난 그런 단어를 가볍게 쓰지 않는다”며 답변을 피했다. 전쟁 종식을 위해 러시아가 져야 할 책임에 대해서도 말을 아꼈다.
반면 마크롱은 우크라이나 전쟁이 러시아의 침공으로 벌어졌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유럽이 동결 중인 러시아 자산과 관련해 “이 전쟁은 우리 모두에게 많은 돈을 들이게 했다. 이건 러시아의 책임”이라며 “침략자가 러시아이기 때문에 동결된 자산도 협상의 일부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회담 분위기는 전반적으로 우호적이었다. 마크롱은 “트럼프와 대화 뒤 앞으로 나아갈 길이 있다고 확신하게 됐다”고 말하는 등 트럼프를 높이 평가했다. 트럼프도 마크롱이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재건에 기울인 노력을 언급하며 친밀감을 나타냈다. 다만 취재진 앞에서 트럼프가 “유럽은 우크라이나에 돈을 빌려주고 있다. 그리고 돌려받는다”고 하자, 마크롱이 트럼프의 팔을 잡고 말을 끊으며 “아니다. 우리가 지불한 것”이라고 정정했다. 트럼프는 웃으며 “그렇게 생각한다면 괜찮다”고 말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