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부품 수출액이 82억2200만 달러(약 11조8000억원)로 역대 최대 성적을 냈다. 하지만 올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완성차 고율 관세를 예고하고 있어 업계는 긴장상태다. 자동차 부품에도 별도로 관세를 붙일 가능성도 거론된다. 다만 미중 무역 갈등이 격화하면 한국산 부품이 중국산을 대체해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23일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에 따르면 한국 자동차부품의 대미 수출액은 2021년 69억1200만 달러, 2022년 80억3000만 달러, 2023년 80억8700만 달러로 매년 꾸준히 증가세를 보였다. 미국 수출 비중은 전체 자동차부품 수출액 225억4700만 달러 가운데 36.5%로 가장 컸다. 유럽연합(17.3%), 멕시코(9.5%), 중국(6.4%), 아세안(5.8%), 인도(4.1%)가 뒤를 이었다. 완성차 수출 규모·비중과 유사한 흐름이 나타난다. 완성차만큼이나 자동차부품도 미국이 가장 중요한 시장이라는 게 확인된다.
국내 부품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완성차 25% 관세 후폭풍이 불어닥칠까 긴장하고 있다. 자동차 한 대당 약 3만개의 부품이 들어가는 복잡한 부품 공급망에 어떤 파급효과를 낼 것인지 예측조차 어려운 형국이다. 부품도 미국 현지화가 요구되거나 관세가 따로 부과되면 직격탄을 맞게 된다. 당장 현지 생산시설을 구축하기에는 투자비가 상당하기 때문에 이 또한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미중 갈등의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김경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국이 중국산 부품에 60% 균일관세를 부과하면, 한국산 부품이 이를 대체해 반사이익을 볼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