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일본 측이 고위급 인사가 참석한 ‘다케시마(竹島·일본이 주장하는 독도 명칭)의 날’ 행사를 진행한 것에 대해 주한 일본대사관 미바에 다이스케 총괄공사를 초치해 강력 항의했다.
외교부는 대변인 성명을 통해 “일본이 독도에 대한 부당한 영유권 주장을 되풀이하고 있는 데 대해 강력히 항의한다”고 밝혔다.
일본은 22일 시마네현에서 다케시마의 날 행사를 열었다. 시마네현이 1905 년 2월 22일 일방적으로 독도를 행정구역에 편입하는 고시를 발표한 날을 기념한 것으로, 시마네현은 2005년 조례를 제정해 2006년부터 매년 행사를 이어오고 있다.
일본 정부는 내각부에서 영토 문제를 담당하는 이마이 에리코 정무관(차관급)을 이번 행사에 파견했다. 2013년 처음 정무관을 파견한 이후 12년 연속이다.
일본 언론은 일본 정부가 한·일 관계를 고려해 장관급 각료 파견을 자제했다고 표현했지만, 차관급 파견을 통해 독도에 대한 부당한 영유권 주장을 편 것이다.
외교부는 이에 대해 “행사를 즉각 폐지할 것을 다시 한번 엄중히 촉구한다”며 “일본 정부는 역사적·지리적·국제법적으로 명백한 우리 고유의 영토인 독도에 대한 부당한 주장을 즉각 중단하고 겸허한 자세로 역사를 직시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2일 오후에는 청사로 미바에 총괄공사를 불러 다케시마의 날 행사 주최에 대한 항의를 표했다.
한·일 수교 60주년을 맞은 올해지만,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따른 잡음은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일본 우익 매체인 산케이신문은 사설에서 “한국이 불법 점거한 지 70년 이상 경과했다. 명백한 주권 침해로 결단코 용납될 수 없다”는 억지 주장을 폈다. 일본 문부과학성은 매년 3월 초중고 교과서 검정 결과를 발표하는데 올해는 고등학교 교과서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강창일 전 주일대사는 23일 통화에서 “외교부가 계속해 문제를 제기하고 공사가 아닌 대사까지 초치해 강력하게 항의해야 한다”며 “동시에 일본이 전향적인 태도로 나올 수 있게 외교적인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준상 기자 junwit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