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소상공인의 배달·택배비 부담 경감을 위해 최대 30만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배달·택배를 이용하는 소상공인 67만9000명이 혜택을 볼 것으로 추산된다. 폐업 증가에 대비해 점포철거비 지원금도 최대 250만원에서 400만원으로 상향한다.
박성효(사진)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사장은 20일 서울 영등포구 중소기업중앙회에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소상공인 지원정책을 밝혔다. 소진공에 따르면 소상공인의 평균 배달비는 2020년 대비 2023년에 약 67만원 증가했다. 이에 따라 증가분의 절반가량을 우선 1회 지원하기로 정했다. 배달·택배비 지원사업에 책정된 예산은 2037억원이다.
소진공은 지난 17일부터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사업 신청·접수를 받고 있다. 이르면 21일부터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지원 대상은 2023년 또는 지난해 연매출 1억400만원 미만 소상공인이다. 배달·택배 실적이 있고 신청일 기준 폐업하지 않은 개인·법인 사업자가 받을 수 있다. 배달 플랫폼·대행사와 협업해 자료 증빙 부담도 완화했다. 플랫폼·대행사에 배달 이력이 없는 사업자들은 오는 4월 별도 증빙 후 신청 가능하다.
소진공은 올해 시장 환경이 악화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소상공인 재기와 경영 안정화를 위한 지원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온누리상품권은 역대 최대 규모인 5조5000억원을 발행한다. 온누리상품권 모바일·카드형 통합 플랫폼 앱은 다음 달 1일부터 정상 운영한다.
박 이사장은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와 관세 정책, 국내 경기와 정치 상황 등으로 녹록잖을 전망”이라며 “소상공인 지원 문제가 시급한 만큼 지난해부터 준비 작업에 착수했다”고 말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