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부산·대전·안산에서 철도지하화통합개발(철도 지하화) 사업을 우선 추진한다. 철도를 지하로 밀어넣고 지상의 철도부지를 인근 부지와 함께 개발하는 방식이다. 총사업비 4조3000억원 투입이 예상된다. 서울 등 수도권 지역은 기존 교통 처리 문제 등 고려할 사안이 많아 우선 추진 대상에서 빠졌다.
정부는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지역 건설경기 보완 방안’을 발표했다. 조(兆) 단위에 이르는 대규모 사업으로 건설경기 침체를 개선하겠다는 취지다.
철도 지하화 사업 대상은 ‘부산진역~부산역’ ‘대전조차장역’ ‘안산 초지역~중앙역’ 구간이다. 부산의 부산진역~부산역 구간(총 2.8㎞)은 인공지반(데크형)을 조성해 약 37만1000㎡(축구장 52개 크기) 규모를 개발하기로 했다. 철도를 지하화하는 대신 기존 철도를 그대로 두고 콘크리트로 감싼 후 그 위 부지를 개발하는 방식이다. 사업 규모는 1조4000억원으로 추산된다. 대전조차장(총 2.4㎞)도 조차장 이전으로 확보된 37만8000㎡를 데크형으로 개발한다. 이 역시 사업비는 1조4000억원으로 예상된다.
안산 초지역~중앙역 구간(총 5.1㎞)은 철로를 지하로 내리고 상부 용지는 인근 안산시 시유지와 함께 역세권 콤팩트시티를 조성할 계획이다. 개발 면적은 71만㎡, 1조5000억원 규모다. 유삼술 국토교통부 철도지하화통합개발기획단장은 “우선 확정된 3개 사업은 상반기 중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 사업의 착공은 2029년 말에서 2030년 초쯤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사업당 기본설계 단계에서만 최대 3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국토부는 부산, 안산 등 일부 지역에서 상·하부 개발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곳들을 발굴해 착공 시점을 최대한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유 단장은 “계획 수립 절차가 오래 걸리므로 올해 당장 투입될 사업자금은 없다”고 밝혔다.
철도 지하화는 특별법에 따라 정부 재정 지원 없이 철도 상부와 주변 부지를 통합 개발해 발생하는 이익으로 비용을 충당하게 돼 있다.
수도권은 서울역, 용산역 중심으로 철도가 연결돼 있어 기존 철도 운행 사정 및 공법 등 검토 사항이 많고 복잡하다는 이유로 사업 대상에서 빠졌다. 다만 국토부는 각 지방자치단체와 협의를 지속해나갈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수도권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 구간은 지자체와 추가 협의를 거쳐 지하화 추진 방안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세종=김혜지 기자 heyj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