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철강 추가 규제 가능성… 조선은 보조금 검토 중”

입력 2025-02-20 02:01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무력화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식 무역 전쟁이 다양한 산업에서 강도를 더할 것이라는 워싱턴 정가의 진단이 나왔다. 이미 25% 관세 폭탄을 맞은 철강의 경우 무역확장법 232조 조치를 통한 추가 규제 가능성이 있어 한국 기업이 현지화 전략을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또 한국 조선업의 반사이익 이야기가 나오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자국 조선산업 보호를 위해 추가 보조금 정책을 검토하고 있어 미국시장 진입이 더 까다로워질 수 있다고 분석한다.

워싱턴 정계를 무대로 활동하는 로비 업체이자 자문사 DGA그룹의 저스틴 맥카시 파트너는 19일 한국산업연합포럼이 ‘트럼프 산업 무역 정책 2.0의 영향과 우리의 대응’을 주제로 연 산업발전포럼에서 “수입 규제가 강화될수록 현지 생산을 확대하는 기업이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맥카시 파트너는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의 입법 담당 특별보좌관을 지냈다.

트럼프 2.0 시대에는 현지화 전략이 필수로 꼽힌다. 인플레이션감축법(IRA) 개정안은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에서 중국산 원료의 의존도를 줄이고 북미산 핵심 광물 사용 비중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조정될 가능성 크다. 맥카시 파트너는 “한국 배터리 기업은 미국 내 배터리 제조 및 원자재 공급망 확보를 위한 추가 투자를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선업은 기회와 위기가 동시에 나타날 수 있는 산업이다. 맥카시 파트너는 “IRA 및 기타 친환경 보조금 정책을 활용한 미국 내 친환경 선박 건조 지원책을 논의 중”이라며 “한국 조선 업체들은 액화천연가스(LNG) 추진선, 수소연료전지 선박 등 차세대 기술력을 앞세운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DGA그룹의 패트릭 캐시 매니징 파트너(변호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50%를 넘어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이라며 “상·하원을 장악한 트럼프 대통령이 내년 중간선거 승리를 위해 감세, 보호무역 등 경제 중심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혜원 기자 ki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