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가 전남형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를 본격 추진한다.
전남도는 지난 17일 도청에서 전남 RISE위원회를 열어 603억원 규모로 5대 프로젝트와 15개 단위과제를 담은 ‘2025년 전남도 RISE 시행계획’을 심의·의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올해 전남 RISE 시행계획은 ‘지역과 대학이 주도하는 그랜드 전남 혁신성장’을 비전으로 지역·대학 통합설계 기반 전남 재도약 체계 구축, 지역인재와 사회·경제·산업·문화·일자리 중심 대학교육 혁신, 지·산·학·연 협력 지역 주력·미래산업의 스마트 혁신, 지역·대학·기업·도민 동반성장 생태계 조성을 전략으로 내세웠다.
이에 따른 그랜드 프로젝트는 글로벌 지역특화 인재양성, 지역 산업혁신 챌린지, 전문직업평생교육 허브센터, 초연결 공유캠퍼스, 역동적 대학·지역 동반성장 등이다. 단위과제 15개는 대학, 혁신·연구기관, 산업체, 시군 등과 협력해 실행한다.
전남은 글로컬대학 등 지역대학 혁신동력과 조선·철강·석유화학 등 기반산업, 에너지·우주항공·해상풍력·바이오·이차전지 등 첨단미래산업, 전국 최고의 농수산 경쟁력 및 관광문화자원, 도민의 높은 교육의식 등이 RISE 사업의 강점으로 뽑힌다.
도는 2023년 3월 RISE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이후 지역 혁신 주체들과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RISE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을 완성했다.
김영록 지사는 “대학이 앞장 서 산업현장 변화를 읽고, 미래산업을 이끌 인재를 선제적으로 양성해야 한다”며 “대학과 함께 힘을 모아 청년이 돌아오는 전남, 대한민국의 성장 엔진이 되는 전남을 만드는데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