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尹 하야 옳은 방법 아냐… 계엄해제 표결에는 불참했을 것”

입력 2025-02-17 19:05 수정 2025-02-17 23:58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1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7일 보수 진영 일각에서 제기되는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선고 전 하야’ 결정 방안에 대해 “옳은 방법이 아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서는 “분명히 잘못됐다”고 평가하면서 향후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결정에 대해 당 차원에서 수용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권 위원장은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윤 대통령의 하야 선택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법률적으로 가능하냐의 문제는 별도로 하더라도 하야했을 경우 이런 모든 문제를 잠재울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하야가) 현실적으로 고려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생각하고, 고려되고 있다 하더라도 옳은 방법은 아니다”고 답했다.

권 위원장은 “헌재가 늦어도 3월 초까지는 (파면 여부를) 결심하지 않겠느냐”며 “기각됐을 때도, 인용됐을 때도 엄청나게 큰 혼란이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앞으로 가장 중요한 과제는 탄핵심판 결과가 나온 이후 갈라진 민심을 다시 모으고 국가적 혼란을 최소화하는 일”이라며 “그러려면 무엇보다 헌재의 탄핵심판이 공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여당의 헌재 비판이 헌재 결정에 불복할 근거를 쌓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헌재가 객관적으로 공정하게 심사해 결론이 나왔을 때 불복할 수 있는 법률적인 방법은 더 이상 없다”며 “모든 지도부나 의원들도 헌재의 결정에 대해서는 받아들인다는 생각”이라고 선을 그었다.

권 위원장은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민주당의 무도한 행태들을 감안하더라도 비상계엄으로 대처하는 것은 옳지 못한 태도였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그러면서도 “제가 당일 국회 현장에 있었더라도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 표결에는 참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당시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 이유와 배경 등을 정확히 모르는 상황에서 야당과 똑같은 행동을 하는 건 여당으로서 잘못이었다는 취지다. 권 위원장은 이런 측면에서 당시 계엄 즉각 해제를 요구했던 한동훈 전 대표에 대해 “조금 성급하지 않았나”라고 평가했다.

한편 이명박 전 대통령은 서울 서초구 이명박재단을 찾아온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에게 “지금 야당은 보통 야당이 아니고 다수당”이라며 “그걸 극복하려면 여당이 정말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국민의힘이) 소수 정당이라 똘똘 뭉쳐 대통령이 일할 수 있도록 밀어줘야 하는데 (당이) 분열돼 있어 참 안타깝더라”며 보수 결집을 촉구했다.

이종선 이강민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