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아파트를 가장 많이 매입한 연령대는 30대였다. 2023년 처음으로 30대가 40대를 추월한 이후 2년 연속이다. 30대는 통상 경제활동 기간이 40대보다 짧기 때문에 고가 자산인 아파트를 매수하는 경우가 적은 편이다. 고금리가 지속되는 가운데 지난해는 정부의 대출규제 강화까지 더해졌다. 그럼에도 ‘30대 영끌족’은 건재했다. 신생아 특례대출 등 저금리 정책 대출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거래된 아파트 49만2052가구 중 30대 매입 비중은 26.6%(13만973명)로 전체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40대는 26.2%(12만8920가구)로 뒤를 이었다. 전국 아파트 연령대별 매입비중은 2022년까지 40대가 1위였다. 하지만 최근 2년간 30대가 가장 앞섰다.
30대가 아파트 매입에 적극 나설 수 있었던 것은 저금리 정책대출이 주효한 것으로 분석된다. 신생아 특례대출, 특례보금자리론 등이 30대의 매수심리를 끌어올렸다. 영혼을 끌어모으는 게 가능한 수준이었던 셈이다.
2023년에는 정부가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에 대한 대출을 확대하고, 특례보금자리론을 공급하자 1~3분기 30대 매입이 40대를 앞섰다. 주춤한 시기도 있었다. 그해 9월 말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6억~9억원) 대출이 중단되자 4분기에는 30대 매입 비중이 40대보다 낮았다. 모두 정책대출의 영향이 확인되는 수치로 풀이된다.
지난해는 신생아 특례대출이 작동했다. 신생아 특례대출은 대출 신청일 기준으로 2년 내 출산·입양한 가구에 최대 5억원을 빌려주는 주택구매자금대출(9억원 이하, 전용 85㎡ 이하 주택 대상)이다. 연이율(1.6%~3.3%)이 시중은행보다 저렴하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과거에는 40대의 매입 비중이 가장 높았는데, 신생아 특례대출 등 정책자금으로 매입 시기가 앞당겨진 것으로 보인다”며 “한편으로 30대 대부분이 ‘아파트 키즈’여서 신혼부부들이 일찍이 아파트 매입에 나선 영향도 있다”고 말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