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의대 정원 확정 시점은 2월말이다. 오늘로 고작 11일 남은 셈이다. 하지만 정부와 의료계 논의는 여전히 평행선이다. 국민의 고통을 외면하지 말고 양측 모두 전향적인 자세로 이제는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 ‘우리 주장만 맞다’라고 고집할 때가 아니다.
최대 난관은 역시 정원 문제다. 정부는 ‘제로베이스’에서 논의한다는 입장만 거듭 강조하고 있을 뿐이다. 1년 전 늘린 2000명이 반영된 5058명이 내년 정원이 될지, 증원 전인 3058명으로 돌아갈지 ‘깜깜이’인 것이다. 반면, 의료계는 아직 구체적인 숫자를 제시하지 않고 있다. 어제 우원식 국회의장과의 간담회에서도 밝혔듯이 지난해 제시한 ‘증원 백지화’ 요구를 고수하고 있다. 내년 정원이 3058명보다 적어야 한다는 주장도 편다. 대한의사협회(의협)는 내년 정원 등 논의에 앞서 정부가 정상적인 의대 교육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제시하라는 입장이다.
최근 서울대 보건대학원이 발표한 국민 인식 조사에 따르면 정당하지 못한 의사의 대응으로 전공의 집단 사직(61.0%)을 가장 많이 꼽았고 그 다음으로 의대생 집단 휴학(18.0%)을 들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지난달 전공의·의대생들에게 사과한 데 이어 정부도 원점 재검토 의사를 밝힌 만큼 의료계도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 다행히 의료계 내부에서도 “의협 뭐하냐”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으며, 구체적인 안을 갖고 협의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고 한다. 국민과 환자가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의 협상 카드가 나와야 할 것이다. 성격과 구성 방식을 놓고 이견이 있지만, 의료인력 수급추계기구를 통해 정원 문제를 심도 있게 논의할 수도 있고, 우 의장-의협·대한전공의협의회 간담회처럼 정치권과의 대화를 통해서도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지속적인 소통만이 1년여 뒤엉킨 실타래를 풀 수 있는 지름길임을 명심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