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프로농구 WKBL의 ‘강호’ 아산 우리은행이 팀 통산 15번째 정규리그 우승 축포를 쏘아 올렸다. 지난 시즌의 우승 멤버들이 대거 이탈하면서 쉽지 않은 시즌이 될 거라는 전망도 나왔지만 기우에 불과했다. 최근 두 시즌 연속 챔피언결정전 최우수선수(MVP)를 차지한 베테랑 김단비를 중심으로 똘똘 뭉쳐 또 한 번의 우승을 일궈냈다.
우리은행은 16일 청주체육관에서 열린 청주 KB스타즈와의 2024-2025 WKBL 정규리그 경기에서 46대 44로 승리했다. 이로써 21승 8패를 기록한 선두 우리은행은 남은 정규리그 1경기 결과에 상관없이 2위 부산 BNK(18승 10패)를 제치고 우승을 확정했다. 우리은행은 김단비가 12점 9리바운드로 활약했다. 이명관은 양 팀 통틀어 최다인 15점을 올리며 팀의 우승 확정에 기여했다.
우리은행은 통합 우승을 거머쥔 2022-2023시즌 이후 2년 만에 정규리그 정상을 탈환했다. 지난 시즌에는 정규리그 2위로 챔프전에 올라 왕관을 차지했다. 자체 보유 중인 정규리그 최다 우승 기록은 15회로 늘렸다.
위성우 우리은행 감독은 경기 후 “정말 어려울 거라 예상한 시즌이었는데 운이 많이 따랐다”며 “김단비를 필두로 모두가 열심히 해서 나온 성과다.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우리은행은 지난 시즌까지 활약한 박지현의 해외 진출에다 박혜진(BNK), 최이샘(신한은행), 나윤정(KB) 등의 이적으로 유독 선수단의 변화가 많았다. 위 감독이 “이적생들이 너무 많아서 다른 팀에 온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고 말할 정도였다.
‘우승 청부사’ 김단비가 위기에 더욱 힘을 냈다. 김단비는 이날 경기 전까지 평균 22.2점에 리바운드 11.1개, 블록슛 1.48개, 스틸 2.15개(이상 1위), 어시스트 3.7개(5위)로 독보적인 기량을 뽐냈다. 올 시즌에만 세 차례 라운드 MVP(1·2·5라운드)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밥 먹듯이 우승을 경험한 위 감독의 지략도 빛을 발했다. 공격보다는 수비에 방점을 찍었다. 우리은행은 리그 최소 57.4점의 질식 수비로 상대 득점을 억제했다. 김단비는 물론 이명관, 한엄지, 박혜미 등 주축 전원이 악착같은 수비로 승수 쌓기에 기여했다. 우리은행은 국내 4대 프로 스포츠(야구·축구·농구·배구) 최초의 13번째 챔프전 우승을 겨냥한다. 역대 WKBL 정규리그 1위 팀의 챔프전 우승 확률은 69.7%(33회 중 23회)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