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론 머스크 정부효율부(DOGE) 수장을 앞세워 연방정부 인력 감축을 시행하고 있다. 지난달 200만명에 달하는 연방정부 직원들에게 희망퇴직을 권고해 7만5000명의 자진 퇴사를 받아낸 데 이어 이달 13 일부터는 고용 보호를 받지 못하는 수습직원 22만명 중 대부분을 해고하는 조치에 돌입했다.
수습직원 해고 조치가 시작된 지 며칠 만에 1만명 가까이 짐을 쌌다. 미국 언론 보도를 종합하면 내무부에서 약 2300명, 에너지부에서 1200~2000명, 농무부 산하 산림청에서 전체 인력의 10%에 달하는 약 3400명, 보훈부에서 1000 명 이상, 교육부 최소 160명, 환경보호청 388명 등이 해고됐다.
또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선 전체 직원 10분의 1에 해당하는 1300명이 짐을 싸야 했고, 소비자금융보호국(CFPB)에서도 수습직원 70명과 기간제 계약직 수십명이 해고 통보를 받았다.
부처별로 해고된 인원을 모두 합치면 9500명이 넘고, 많으면 1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여기에 더해 미국 국세청도 직원 수천명을 해고할 준비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적자 해소와 효율화를 명분으로 내건 해고 칼바람 속에 핵무기 관련 직원들도 대거 해고됐다. CNN에 따르면 에너지부 구조조정 과정에서 소속 기관인 국가핵안전청(NNSA) 직원 1800명 중 수습 기간이 끝나지 않은 직원 300여명이 지난 13일 밤 해고됐다.
NNSA는 핵무기 관리·감독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이다. CNN은 구조조정을 수행하는 사람들이 NNSA의 담당 업무가 무엇인지 몰랐던 것으로 보인다는 관계자들의 말을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뒤늦게 문제를 알아차리고 해고 통보 이튿날 14일 오전부터 이들에 대한 해고 취소와 복직을 추진하고 있다. 의회 관계자는 “핵 억지력은 미국 안보와 안정의 중추”라며 “여기에 아주 조그만 구멍이 생기기만 해도 엄청나게 두려운 일”이라고 말했다.
김남중 선임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