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어두워진 경기 진단… 정부 ‘내수회복 지연’ 명시

입력 2025-02-14 18:57

정부의 경기 진단이 계속 어두워지고 있다. 지난달에는 고용 둔화에 대한 우려가 나오더니 이번에는 내수 회복이 늦어지고 있다는 표현까지 등장했다. 여기에 트럼프발 ‘관세 전쟁’마저 본궤도에 오르면서 대외 불확실성마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기획재정부는 14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2월호’를 발표하고 “한국 경제는 소비·건설 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가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난달 경제동향에서 “고용이 둔화되고 경기 하방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한 데 이어 ‘내수 회복 지연’이라는 평가를 새롭게 내놓은 것이다.

당초 정부는 지난해 5월부터 매월 경기 진단마다 ‘내수 회복 조짐’이라는 표현을 사용해왔다. 하지만 내수 경기가 좀처럼 회복세를 보이지 않으면서 11월부터는 이 같은 평가가 자취를 감췄다.

내수 지표는 특히 소비와 건설 부문에서 꾸준히 뒷걸음질치고 있다. 통계청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소매판매는 1년 전 같은 달 대비 3.3%, 직전인 11월 대비 0.6% 각각 감소했다. 건설기성은 11월에 비해서는 1.3% 증가했지만 1년 전 같은 달과 비교하면 8.3% 감소한 수준이었다.

조성중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소비는 점점 회복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있다”면서도 “연말에 (비상계엄 등) 심리가 위축된 영향과 대외여건 악화 등으로 회복이 지연되는 듯 보인다”고 말했다.

고용 경기가 하강하고 있다는 점도 연이어 나왔다. 지난달 ‘고용 둔화’ 표현을 처음 꺼냈던 정부는 이번 경제동향에서 평가를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 지속’으로 구체화했다. 지난달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13만5000명 늘어 증가세를 회복했지만, 청년과 건설·제조업 등에서는 고용 부진이 계속됐음을 감안한 평가다.

앞으로의 전망도 밝지 않다. 정부는 최근 출범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본격적인 관세 부과에 나서면서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조 과장은 “가용수단을 총동원해서 분야별 민생·경제 개선 조치를 신속히 마련,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이의재 기자 sentin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