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용, 계엄 전후 김건희 여사와 문자 주고받아

입력 2025-02-14 00:09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1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8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답변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제공

김건희 여사가 12·3 비상계엄 선포 전날과 당일 조태용 국가정보원장과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은 정황이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에서 제시됐다.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이유로 개인 가정사를 언급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국회 측 장순욱 변호사는 13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한 조 원장에게 “통신내역에 따르면 계엄 전날인 12월 2일 대통령 영부인으로부터 문자를 두 통 받고, 그다음 날 답장을 보낸다”며 “무슨 내용인지 기억나느냐”고 물었다. 조 원장은 “뭔가 남아 있다면 그걸 보시면 판단이 되지 않을까 싶다”고만 답했다.

장 변호사는 “계엄 전날과 당일 국정원장과 영부인이 문자를 주고받는 게 이상하지 않냐”고 물었다. 조 원장은 “자주 있는 일은 아니었다”고 답변했다. 국회 측 대리인단 관계자는 변론 종료 후 이에 관한 기자들 질문에 “(내용은) 모른다. 통신 목록만 있다”고 말했다.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은 이날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직전 개인 가정사를 언급했다’는 취지로 증언했다. 국회 측 이금규 변호사는 김 전 청장에게 “수사기록을 보니 윤 대통령이 개인 가정사를 얘기했다는데, 가정사가 뭐냐”고 물었다. 김 전 청장은 “이 자리에서 답변하기 적절치 않다”고 했다. 이 변호사는 “비상계엄을 선포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하며 가정사를 말했는데 이 자리에서 말하고 싶지 않다는 거냐”고 물었고 김 전 청장은 “네”라며 “뉴스에 나오는 계엄 선포 이유와 결이 다르다”고 했다. 이어 “특검이라든지 그런 것과 관련 없이 지극히 대통령의 개인적 이유라는 느낌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3일 오후 7시20분쯤 삼청동 안가에서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 전 청장을 만나 계엄선포 이유를 밝히고 국회 통제 지시를 했다는 게 검찰 수사 결과다.

윤 대통령은 변론에서 지난해 3월 말~4월 초 안가 모임에 대해 “그때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을 호주 호위함 수주를 위해 호주대사로 보냈는데, ‘런종섭’이라며 인격 모욕을 당하고 사직했다”며 “(당시 모임에서) 그 얘기를 하며 화가 많이 났던 것 같다”고 말했다.

성윤수 송태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