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2일 대전 초등학생 피살 사건 관련 메시지를 냈다. “안전하게 뛰어놀 학교에서 범죄가 발생해 안타깝다. 정부가 유족을 지원하고 재발방지책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해주리라 믿는다”는 내용이다. 지난해 12월 직무가 정지돼 탄핵심판 중이고 내란죄로 수감된 상태인데 마치 평소 대통령이 하는 것 같은 업무 지시나 당부처럼 들린다.
고개를 갸우뚱하게 하는 메시지는 이번뿐만이 아니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13일 LA 산불이 나자 “동맹인 미국민께 위로를 전한다. 도움이 필요하면 정부에서 지원하고 교민 피해를 막는 데 최선을 다해주길 당부 드린다”고 밝혔다. 1월 1일엔 관저 앞 지지자들에게 “생중계 유튜브를 봤다. 감사하다”고 했고, 같은 달 24일엔 “설날이 다가오니 국민 여러분 생각이 많이 난다. 행복한 명절 보내시라”는 메시지도 냈다. 이달 들어선 면회온 여당 의원들을 통해 탄핵 반대 집회에 나온 청년 세대를 격려하는 듯한 발언과 야권을 비난하는 내용이 전해지기도 했다.
이런 메시지는 ‘아직 내가 대통령이다’란 점을 내세우려는 의도일 수 있다. ‘직무가 정지됐지만 다시 돌아올 수 있다’는 걸 주지시키려는 차원으로도 보인다. 청년 격려와 야당 비난은 지지층을 결집하고 계엄의 정당성을 주장하려는 속내일 것이다.
하지만 계엄 선포와 탄핵 사태로 나라를 위기에 빠뜨리고 국민에게 트라우마를 안긴 대통령이 직무정지 전과 별반 다르지 않게 격려, 당부, 위로의 메시지를 내는 것에 어리둥절해하는 이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탄핵심판 중인데 그럴 경황이 있다는 것도 잘 이해가 안 된다. 또 국민 통합이 아니라 특정 세대와 진영을 겨냥해 자칫 갈등을 부추길지 모를 메시지를 내는 것도 안 좋게 보인다. 윤 대통령은 자신의 메시지가 자칫 국민을 불편하게 할 수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보다 신중한 처신을 하기 바란다. 여당도 ‘옥중 말씀’ 전달자 역할을 그만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