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하늘이 막자”… 전국 교육청 일제히 긴급 안전점검

입력 2025-02-12 18:29

대전 초등학생 피살사건으로 불안감 확산을 걱정한 전국 교육청들이 일제히 긴급 안전점검에 나서고 있다. 유아·아동 교육현장 환경개선과 교원 관리 강화 등의 대책들이 잇따라 발표됐다.

서울시교육청은 복직 절차 강화 등 대비책을 마련하는 한편 학교안전 대응체계도 다시 점검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서울시교육청은 돌봄교실을 운영하는 학교에 대해 즉시 아동을 최우선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조치했고 이번 사건 때문에 등교불안 등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겪는 학생이 있을 경우 가까운 위(Wee)센터에서 언제든지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또 복직 절차 강화 등을 통해 교직원 건강관리가 실질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교육부, 국회 등과 긴밀히 소통해 나갈 계획이다.

충북도교육청은 학교 안전시스템 점검과 함께 학생 심리안정 등에 나서고 있다. 14일까지 학교장 중심으로 학생들의 안전과 돌봄교실 운영 전반을 점검한다. 학생 하교 시 보호자(대리인) 귀가 동행을 원칙으로 인계 장소까지 교직원 인력과 자원봉사자가 항상 대면 인계하도록 돕는다. 교직원의 질병 휴직·복직과 관련해 전문 의료진의 진단을 꼼꼼히 살피고 휴·복직 절차 등도 철저히 점검할 방침이다. 특히 우울증 등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교원 등의 심리검사와 상담·치료 지원을 강화한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어려움을 호소하는 학생과 교직원을 선별 검사하고 특별상담실도 운영한다.

충남도교육청은 초등학교 1·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안심 터치벨을 우선 지원하고 학생 보호 인력을 추가 배치할 예정이다. 초등학생 안심 알리미 서비스를 모든 학교로 확대하고 늘봄 교실 이용 학생의 안전한 귀가를 위해 보호자 동행제를 강화한다. 교직원의 정신건강 지원도 강화한다.

대구시교육청은 늘봄 프로그램에 대해 시작과 동시에 학생 출결 상황을 파악하는 등 프로그램 간 학생 인수·인계를 강화해 학생 소재를 철저히 확인할 예정이다. 교원들의 심리 치유와 정신건강 증진, 소진교사의 교육력 회복 등을 위해 심리검사-심리상담-전문치료로 이어지는 3단계 맞춤형 지원체계도 구축할 방침이다.

광주시교육청도 교원 휴·복직 시 전문 의료진 진단 철저 점검, 회복 상태 진단서 면밀하게 검토 등 교원 휴·복직 절차를 강화하기로 했다. 부산시교육청은 방과 후 안전 도우미를 증원하는 등의 학생 안전 대책 마련했다. 경북·전남·제주도교육청 등도 교육현장 환경개선과 안전 시스템 강화, 교직원 건강 지원 강화 등의 대책을 마련해 발표했다.

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