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형은 단순한 장난감을 넘어 감정과 추억이 담긴 특별한 존재다. 어린아이에게는 친구이자 위로가 되고 성인에게는 소중한 기억을 떠올리게 한다. 누군가에겐 따뜻한 선물이 되기도 한다. 한 땀 한 땀 손으로 만들어 똑같은 모양이 하나 없는 ‘인형 친구’를 제작해 취약계층의 어린이들에게 하나님의 사랑을 전하는 공동체가 있다. ‘인사동(인형을 사랑하는 동아리)’이다.
지난 6일 서울 마포구의 한 4층 건물. 2층 문을 열고 들어서자 다양한 모양의 헝겊인형이 기자를 반겼다. 전시된 인형은 각기 다른 헤어스타일과 옷차림으로 개성을 뽐냈다. 같은 인형은 하나도 없었다. 저마다의 이야기를 품고 있는 듯했다.
인사동을 만든 재단법인 ‘담’의 손성희(58) 이사장은 “미술심리치료재활 박사 과정 후 한 미혼모 쉼터에서 봉사하며 그들이 만드는 인형에 관심을 갖게 됐다”며 “쉼터가 문을 닫게 됐고, 운영하던 카페에서 뜻이 맞는 지인들과 함께 재료비를 마련하며 인형 만들기를 시작한 것이 우리 동아리의 시작”이라고 설명했다.
봉사자들은 매주 목요일 독일 발도르프 인형을 모티브로 한 수제 헝겊인형을 만든다. 발도르프 인형은 20세기 초 루돌프 슈타이너의 교육 철학에서 시작됐다. 포근한 헝겊인형은 아이들에게 따뜻한 놀잇감이자 감정을 나누는 친구가 된다는 취지다. 이를 위해 눈과 코, 입을 거의 표현하지 않는 등 표정을 단순하게 만들어 아이들이 자유롭게 감정을 투영해 공감과 상상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발도르프 인형은 독일산 천연 섬유와 자연 소재로 모두 수작업으로 제작된다.
‘인사동’에는 50, 60대 집사와 권사 등 8명이 봉사자로 활동한다. 1년에서 11년까지 제작 경력은 다양하지만 애정은 한결같다. 비록 나이가 들어 돋보기를 써야 하지만 한 땀 한 땀 정성을 들인다.
인사동의 김도숙(56) 팀장은 “우리가 만드는 인형은 가격을 매길 수 없을 만큼 가치가 높다. 머리는 헤어디자이너처럼, 볼 터치는 메이크업 아티스트처럼, 옷은 패션디자이너처럼 섬세하게 만든다”며 “봉사자들이 만든 세상에서 하나뿐인 특별한 작품은 외로운 아이들의 소중한 친구가 된다”고 강조했다.
이렇게 완성된 1200개의 인형은 지난 11년간 보육원과 취약계층,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외 아이들에게 입양됐다. ‘입양’이라는 표현은 인형에 대한 애정과 의미가 크기 때문이라고 인사동 회원들은 입을 모았다. 손 이사장은 “여러 큰 기업에서 협업 제안을 받았지만 모두 거절했다”며 “봉사자들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아이들이 우리가 만든 인형을 꼭 안고 잠들거나 놀이할 때 손에서 놓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들을 때 작은 위로를 전했다는 생각에 큰 보람을 느낀다”며 “아직 하나님을 알지 못하는 아이들에게도 인형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이 전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글·사진=박효진 기자 imher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