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록(사진) 전남지사가 미국 관세정책에 대비한 선제적 비상체제를 가동해 지역 산업 위기 최소화에 나섰다.
전남도는 가칭 트럼프 2기 관세정책 대응 TF를 운영해 분야별 중·단기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11일 밝혔다.
미국의 주요 관세정책은 모든 수입품에 10~20%의 관세를 일률적으로 부과하고 중국 제품에 10% 관세를 추가로 부과하는 보편관세와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교역 상대국에 동일한 관세를 부과하는 상호관세 적용 등으로 예상된다. 대외경제연구원에 따르면 10% 보편관세 부과 시 국내 수출 감소액은 연간 약 211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지난 10일 발표한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추가 관세 부과도 지역 산업에 직·간접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전남도는 주요 실국을 중심으로 산업 분야별 대응팀을 구성하고, 전남연구원, KOTRA광주전남지역본부, 한국무역협회 광주전남지역본부 등 경제 관련 유관기관 등이 참여하는 트럼프 2기 관세정책 대응 TF를 운영할 방침이다.
TF에서는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의 관세 및 수출입 동향을 수시로 파악할 예정이다. 또 전남지역의 수출과 주력산업, 농수산식품, 중소기업 등 분야별 단기·중장기 대응 방안을 마련한다.
김 지사는 “미국 관세정책 변화는 국내 산업은 물론 지역 산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 자명하다”며 “지역 산업 위기를 최소화하도록 TF를 중심으로 수출구조 다변화와 수출경쟁력 강화 등 할 수 있는 일을 신속하고 최선을 다해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