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땅과 바다 등에 이산화탄소를 묻는 ‘이산화탄소 포집·수송·저장 및 활용(CCUS)에 관한 법률’ 시행을 앞두고 CCUS 산업 육성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다만 핵심 과제인 동해가스전 실증사업이 지연되면서 실제 이 기술이 활용되는 시기는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CCUS 법안이 7일부터 본격 시행된다”며 “CCUS 산업 진흥과 관련 기업 지원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6일 밝혔다. CCUS 기술은 화석연료 사용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저장하거나 부가가치가 높은 물질로 활용하는 기술로 탄소 감축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도 CCUS 기술 없이는 온실가스 배출량 ‘제로’ 도달이 불가능하다고 밝힌 바 있다.
한국도 2023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기본계획에서 제시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CCUS 기술을 활용해야 한다. NDC에 따르면 한국은 2030년까지 CCUS 기술로 탄소 1120만t을 감축해야 한다. 정부는 이를 위해 지난해 2월 CCUS법을 제정하면서 탄소 저장 사업 허가 및 저장 후보지 선정·공표 절차, 운영 프로세스 등 내용 전반을 포함했다.
다만 관련 실증사업이 첫발조차 떼지 못했다는 점에서 당초 정부가 설정한 시기를 지키지 못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부는 2021년 생산이 종료된 동해가스전을 이산화탄소 저장 시설로 전환해 2030년부터 이곳에 연간 120만t의 이산화탄소를 포집·수송해 전환하는 ‘동해가스전 활용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실증사업’에 착수했다. 계획대로라면 해당 사업은 올해부터 시작돼야 한다. 하지만 이 사업은 지난해 초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대상으로 선정됐음에도 약 1년째 예타 문턱조차 넘지 못하고 있다.
육지에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만한 공간이 마땅치 않은 국내 상황에선 CCUS 기술을 활용할 후보지로 동해가스전이 필수다. 산업부 관계자는 “사업이 조속히 예타를 통과해 정부가 제시한 탄소 감축 목표를 차질없이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세종=김윤 기자 k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