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출당한다고 관계 단절되나… 인위적 거리두기 동의 안 한다”

입력 2025-02-07 02:43
사진=이병주 기자

권영세(사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6일 “윤석열 대통령을 출당시킨다고 (당과) 단절이 되느냐”며 “(윤 대통령과) 인위적인 거리두기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탄핵소추 이후 당 안팎에서 제기되는 윤 대통령과의 절연 요구에 분명한 선을 그은 것이다. 그러면서도 앞으로 당 쇄신에 매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권 위원장은 국회에서 열린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계엄옹호당 이미지를 벗기 위해 대통령과 거리를 둬야 한다는 얘기가 있다’는 지적에 “지난번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 (박 전 대통령을) 출당시켰다. 그러나 출당했다고 해서 박 전 대통령과 단절됐느냐”고 반문했다. 이어 “대통령이 잘한 부분은 계승하고 잘못한 부분은 분명하게 고쳐나가는 게 단절이지 형식적으로 외면하고 (고칠 부분은) 찾아보지 않고 (대통령을) 내보낸다고 단절, 쇄신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거리가 둬지지 않는 부분에 쓸데없는 노력을 하기보다는 우리 당이 지지받을 부분이 뭔지 노력하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12월 30일 취임한 권 위원장은 지난 한 달간의 당 상황과 관련해 “완전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화합도 이뤄진 모습”이라고 자평했다. 이어 “앞으로는 당의 변화와 쇄신에 더욱더 매진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쇄신 방향에 대해선 “우리가 보수 정당으로서 무조건 좌파나 중도 쪽으로 가는 방향성이 의미가 있지는 않다고 본다”며 “중도층과 일반 국민이 관심을 두고 ‘니즈(수요)’가 있는 이슈에 적절히 대응하는 게 소구할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지정 등 규제를 언급하며 “10여년 전에는 우리가 경제민주화를 받아들이고 노력한 부분이 있지만 (지금은) 경제자유화가 필요하다”는 언급도 했다. 윤 대통령을 끊어내는 일보다는 규제 완화나 생활밀착형 정책 발굴을 통해 외연 확장을 시도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권 위원장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와 관련해 야당의 ‘선(先) 모수개혁 후(後) 구조개혁’ 요구에 대한 수용 가능성도 시사했다. 그는 “모수개혁이 조금 더 손쉽게 될 수 있다면 모수개혁부터 먼저 하는 것도 필요하다”며 “국회 연금개혁특위를 하루빨리 구성해서 우선 급한 보험료율(내는 돈) 13%부터 확정하고, 소득대체율(받는 돈)에 대해서는 다른 구조개혁 문제와 연관해서 가급적 빨리 결정한 다음 본격적인 구조개혁에 들어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종선 정우진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