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가 인공지능(AI)과 바이오 기술을 접목해 난치병 신약 개발에 나선다.
LG AI연구원은 5일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 글로벌라운지에서 백민경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와 ‘차세대 단백질 구조 예측 AI’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것은 과학자들의 오랜 난제였다. 질병의 원인을 알아내고 신약·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단백질은 평균 300여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복잡한 3차원 구조를 지닌 데다 아미노산의 종류, 분자 간 상호작용 등에 따라 구조가 달라진다. 글로벌 빅테크들도 단백질 예측 AI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지만 아직은 설계 단계에 머물러 있다.
백 교수는 단백질 구조 예측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연구자다. 지난해 노벨 화학상을 받은 데이비드 베이커 워싱턴대학교 교수와 함께 단백질 구조 예측 프로그램 ‘로제타폴드’를 개발한 바 있다. LG AI연구원은 백 교수 연구팀과 협력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단백질 다중 상태 구조 예측 AI를 연내 개발해 신약 개발은 물론 생명 현상의 비밀을 풀 수 있는 연결고리를 찾는다는 계획이다. LG는 이번 공동연구가 미국 잭슨랩(JAX)과 진행 중인 알츠하이머 인자 발굴 및 신약 개발의 진행 속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임송수 기자 songst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