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홍콩발 소포 수령 잠정 중단”… 美, 발표 수시간 만에 “재개” 번복

입력 2025-02-05 19:06 수정 2025-02-05 23:44
연합뉴스TV 제공

미국 연방우정청(USPS)이 중국과 홍콩에서 발송되는 국제 소포 반입을 잠정 중단한다고 발표했다가 수시간 만에 번복했다.

USPS는 5일 오전(현지시간) 공지를 통해 “USPS와 세관국경보호국(CBP)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새로운 관세 징수 절차를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며 “우편물 배송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이같이 밝혔다.

USPS는 전날 중국 및 홍콩에서 발송되는 소포 접수를 추가 공지가 있을 때까지 일시적으로 중단한다고 밝혔다가 몇시간 만에 입장을 바꿨다.

당시 USPS는 수령 중단 조치의 배경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았다. 이를 두고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최소 기준 면제’ 종료의 영향이라는 시각도 있다. 미국은 이날 행정명령을 통해 중국에 대한 10% 추가 관세 부과를 강행했다. 행정명령에는 중국에 대해 최소 기준 면제 조치를 적용하지 않는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이는 관세 당국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800달러 이하 제품에 대해선 관세를 면제해주는 제도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 제도를 악용해 마약 펜타닐 원료 등이 미국으로 유입되는 통로가 만들어졌다고 주장해 왔다.

미국의 입장 번복으로 ‘알테쉬(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 등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들은 일단 한시름 놓을 전망이다. 이들 업체는 최소 기준 면제 조치를 활용해 미국에서 의류·가구·전자제품 등 다양한 제품에 최저 가격을 제공하며 입지를 넓혀가고 있었다.

컨설팅 회사 임팩트의 최고경영자 크리스 페레이아는 CNBC에 “국경 간 전자상거래 회사들에게 USPS는 전통적으로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인 옵션이었고 특히 중국 소규모 판매자에게 적합했다”며 “이번 조치로 판매자 비용이 증가하고 미국 소비자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고 말했다. CNBC는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미국에서 극적인 성장을 지속할 수 있을지는 불분명하다”며 “일부 업체는 미국 내 물류 창고를 만들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