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가 지역사회와 함께 출산·양육을 책임지는 맞춤형 출산정책을 선도적으로 추진한다. 올해 615억원을 들여 39개 사업을 진행한다.
지난해 11월 말까지 전남 출생아 수는 7605명으로 전년 누계보다 4.2% 증가해 9년 만에 출생아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도는 이런 긍정적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 임신·출산·양육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다.
아이를 간절히 원하는 부부에 대한 세심한 지원은 한층 강화된다. 가임력 검사 지원을 최대 3회로 확대한다. 모든 난임부부가 난임시술비 지원을 받도록 정부 지원 횟수 초과자도 전남도에서 추가 지원하고, 한방 난임치료비도 최대 18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정·난관 복원 시술, 영구적 불임 생식세포 동결·보존 지원도 신규 추진한다.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도 확대 지원한다. 현재 5개인 공공산후조리원을 2025년 2개(여수·광양), 2026년 2개(목포·영광)를 추가 개원한다.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서비스 본인부담금 중 19만원을 추가 지원하고, 12개 시군에서 생애 초기 건강관리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출산·양육비용 경감을 위한 지원도 대폭 확대한다. 2024년 이후 전남 출생아에게 1세부터 18세까지 매월 최대 20만원의 출생기본수당을 지급하며, 첫만남이용권(첫째아 200만원·둘째아 이상 300만원)을 바우처(카드포인트)로 지원한다.
김명신 전남도 인구청년이민국장은 5일 “저출생 추세 반등 조짐이 보이는 만큼 2030년 합계출산율 1.5명을 목표로 임신·출산·양육 맞춤형 서비스 통합 제공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