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는 가운데 대구에서도 미국 관세 정책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대구시는 지역산업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고심 중이다.
대구상공회의소는 미국의 관세 정책이 시행될 경우 멕시코와 캐나다에 생산시설을 두고 미국으로 우회 수출을 하는 한국 기업들과 중국 대상 중간재 수출 기업들의 수출량 감소를 예상하고 있다. 미국 수출길이 막힌 중국이 다른 국가에 저가로 물량 밀어내기를 할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미국과 멕시코, 캐나다는 대구지역 수출액의 30.5%, 수입의 59.2% 차지하고 있다. 중국은 대구지역 최대 교역국으로 수출(23.6%), 수입(58.3%) 모두 1위다. 대구가 관세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이어 유럽연합(EU)과 일본, 우리나라로도 관세 부과를 확대할 경우 더 직접적이고 큰 피해가 우려된다. 특히 대구의 대미 주력 수출상품인 자동차부품과 경작기계, 금속제품 등의 수출 감소로 지역경제 타격이 예상된다.
대구시 역시 대응 방안을 고심 중이다. 시는 급변하는 글로벌 통상 환경에 지역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다양한 대응·지원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5일 밝혔다.
시는 향후 예상되는 미국의 관세정책 강화와 기존 친환경 정책 축소 등으로 지역 자동차부품과 이차전지 기업 등이 큰 피해를 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미국은 대구지역 수출의 23.5%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대미 수출 품목은 자동차부품, 경작기계, 철강·금속, 정밀화학 원료 등이다.
시는 지역 자동차부품 기업 등이 안정적인 경영을 이어갈 수 있도록 중소기업 운전자금 저리 지원, 수출 유망 중소기업 지원 특례 보증 등과 같은 금융지원 정책을 올해 상반기 안에 집중적으로 실시할 방침이다. 이차전지 분야의 경우 지역 기업들이 미·중 무역 갈등에 따른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각종 지원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자동차부품, 이차전지 기업 등이 수출시장 다변화를 꾀할 수 있도록 해외 마케팅을 강화하고 최근 개소한 미국 로스앤젤레스(LA) 해외사무소를 활용해 대미 무역 현황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