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촉발한 ‘관세전쟁’ 대비 이슈를 선점하기 위해 부심하고 있다. 이재명 대표를 중심으로 지도부 전체가 경제와 안보 분야 보폭을 넓히는 양상이다.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관세, 무역, 통상 등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수권 정당 이미지를 부각하려는 전략으로 읽힌다.
민주당 경제상황점검단은 6일 국회에서 이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공급망 안정화 간담회를 개최한다.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에 따른 공급망 대책과 수출입 전략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공급망 문제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캐나다 멕시코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현실화했다. 간담회 자리에는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국·실장들도 참석한다.
앞서 이 대표는 지난 3일 “국회에 통상특별위원회를 설치해 초당적으로 글로벌 통상전쟁에 대비하자”는 제안도 했다. 미국이 무역 적자국을 상대로 고율 관세 압박을 지속하고 있고, 한국 역시 타깃이 될 수 있으니 선제 대응을 하자는 취지였다. 지도부 고위 관계자는 4일 통화에서 “민주당은 트럼프 시대의 위기에 대응하고, 수권 능력을 선보이기 위해 연속적인 정책을 계속 내놓을 계획이다. (추가 대책이) 더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의 대선 준비 조직인 집권플랜본부도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잠정 중단했던 세미나를 6일 재개한다. 성장 전략이 핵심 주제다. 일부 의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협력 ‘러브콜’을 보냈던 국내 조선소와 방위산업체 현장을 이달 중 방문하는 일정도 추진 중이다. 민주당은 미국과의 협력을 통한 국내 조선업 성장 모멘텀 확대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 대표는 오는 10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도 성장 관련 메시지를 중점적으로 낼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분배에서 성장 우선 담론으로 선회한 이 대표의 추가적인 청사진이 제시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 측 관계자는 “회복과 성장을 기조로 구체적인 정책 콘텐츠를 어떻게 담아낼지 고민 중”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 대표는 이날 “방위산업은 가장 가시적인 우리나라 미래 먹거리이고, 세계 각지의 전쟁 억지력을 높일 수 있게 하는 안보 수호 수단이자 우리의 국격”이라며 “민주당은 국익을 위해 K방산을 적극 지원하고 육성하겠다”는 내용의 글을 페이스북에 올렸다.
이 같은 민주당의 경제·안보 이슈 집중은 외연 확장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야권이 경제와 안보에 상대적으로 무관심한 것 아니냐는 중도층의 불안을 줄이기 위한 전략적 ‘우클릭’이라는 것이다.
박장군 기자 genera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