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여론조사에서 여권 대선 후보 지지도 1위를 보이고 있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정작 대선 출마 여부에 대해 전혀 생각해 본 적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 장관은 비상계엄 선포 당일 국무회의에 자신이 참석했다면 강하게 반대했을 것이라면서도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은 기각돼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
김 장관은 4일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대통령에 대한 계엄 수사와 재판이 진행되고 있다”며 “조기 대선 가능성은 존재하지만 현실적으로는 아직 단정할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윤 대통령 탄핵이 인용될 경우 조기 대선에 출마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검토하거나 생각한 것이 전혀 없다”며 “지금 그런 말을 하면 대통령과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고, 내 양심에도 맞지 않는다”고 답했다.
김 장관은 최근 여론조사에서 범여권 인사 중 가장 높은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다. 설 연휴 기간 발표된 방송3사 여론조사에서도 김 장관은 14~17%를 얻어 다른 여권 후보들을 앞섰다.
김 장관은 본인의 지지율이 높게 나오는 이유에 대해 “저도 모르겠다. 국민이 좀 답답하시니까 그렇게 응답하시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는 특별히 한 일이 없고, 그냥 상식적인 이야기를 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며 “‘대통령이 구속이 안 됐으면 좋겠다’ ‘대통령이 석방되면 좋겠다’ ‘계엄도 없고 탄핵도 없으면 좋겠다’ 외에 한 얘기도 없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탄핵 정국에서 결집한 강성 보수층이 김 장관을 대안으로 밀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김 장관은 지난해 12월 11일 국회 본회의 때 서영교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국무위원 전원 기립 사과 요구를 거부하고 홀로 자리에 앉아 있던 장면으로 여권 지지층에 각인됐다.
김 장관은 당시 상황에 대해 “저도 국회의원을 세 번 했다. 자리에 앉아 있는 국무위원에게 전원 일어서서 무조건 ‘사과하라’ ‘절을 하라’ 강요하는 건 국회의원의 권한과 금도를 넘는 직권남용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어 윤 대통령 탄핵이 기각돼야 한다고 보는지 묻는 말에 “당연히 그렇게 생각한다. 대한민국 대통령이 계속 탄핵당하고 불행한 역사를 겪는 것은 국민 누구도 원치 않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다만 계엄 선포 자체에 대해서는 “정당성 여부를 떠나 대통령이 계엄으로 모든 것을 잃어버리고 감옥에 갇혀 있다”며 “(12월 3일 계엄 선포안 심의) 국무회의에 참석했으면 강력하게 (계엄을) 반대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강민 기자 riv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