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스타벅스 매장 수가 2000개를 넘겼다. 일본을 추월하고 미국, 중국에 이어 스타벅스 매장 수 기준 세계 3위에 올랐다. ‘스타벅스’라는 브랜드 파워를 앞세워 공격적인 출점 전략을 펼친 게 주효했다. ‘뷰맛집’ 이미지, 한정판 굿즈, 사이렌오더의 편의성 등 다양한 서비스도 확장에 한몫을 했다. 다만 매출 대비 낮은 수익성은 기업 차원의 숙제로 남아있다.
2일 스타벅스 글로벌 웹사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한국 스타벅스 매장 수는 2009개다. 1991개의 매장을 보유한 일본을 18개 차로 앞섰다. 일본 인구가 한국보다 2.5배 정도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인의 스타벅스 사랑은 독보적이라고 볼 수 있다. 전 세계 스타벅스 매장은 4만576개로 미국(1만7049개)과 중국(7685개)이 전체의 60%가량을 차지한다. 한국의 1인당 스타벅스 매장 수는 중국, 일본보다 많다.
한국은 일본보다 3년 늦은 1999년 이화여대 앞에 1호점을 열었고 25년 만에 매장 수 2000개를 넘겼다. 2020년만 해도 한국 매장 수는 1508개로 일본보다 121개 적었지만, 불과 4년 만에 500개 매장이 신규 출점했다. 국내 스타벅스 매장은 2013년부터 한 해도 빠지지 않고 매년 100개 넘게 증가했다. 일본은 스타벅스가 북미 이외 지역에 최초로 진출한 나라다. 1996년 문을 연 도쿄 긴자점이 1호 매장이다.
2023년 말 기준 한국 스타벅스 매장은 1893개, 일본은 1901개로 8개 뒤지던 상태였다. 그러나 1년 사이 일본은 매장 수가 90개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한국은 116개 증가하면서 일본을 넘어섰다. 서울 지역 매장은 600개가 넘어 국내 스타벅스 매장 전체의 30%를 웃돈다. 강남구에만 오피스 빌딩 밀집 지역 중심으로 약 100개의 매장이 있다.
‘스세권’(스타벅스 생활권)이란 신조어가 생겨났을 정도로 스타벅스의 파급력은 상당하다. 스타벅스는 특화매장 전개에 힘을 쏟고 있고, 일부 점포는 ‘뷰맛집’으로 유명세를 탔다. 한정판 굿즈는 매번 ‘품절 대란’을 일으키고 있다. ‘사이렌오더’ 등 서비스도 호평을 받고 있다.
스타벅스 코리아 매출은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스타벅스 매출은 2021년 2조3856억원에서 2023년 2조9295억원으로 늘었다. 지난해 매출은 3조원을 돌파했을 것이란 예측이 지배적이다. 다만 낮은 수익성은 스타벅스가 해결해야 할 문제다. 2021년 10%대였던 스타벅스의 영업이익률은 4%대로 추락했다가 지난해 간신히 5%대에 접어들었다.
박성영 기자 ps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