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 ‘개신교인 1% 이하’ ‘문맹률 90% 이상’ 국가였던 아프리카 말리에 한국인 선교사 최초로 발을 들인 부부가 있다. 열악한 환경 속에 있는 이들 중 한 영혼이라도 더 구원받길 바라며 교회와 학교, 병원을 세우고 복음 전파에 힘써 온 안창호(67) 김희심(66) 선교사다. 지난달 20일 서울 여의도 국민일보 스튜디오에서 이들을 만나 30년 선교 이야기를 들었다.
처음 말리에 발을 디뎌 교회를 열려던 안 선교사 부부의 눈에 띈 건 학교가 아닌 생업 전선에 서 있던 아이들이었다. 안 선교사는 “열악한 환경에서 아이들이 조그만 쟁반을 들고 다니며 장사를 하고 있었다”며 “우리나라도 과거 외국인 선교사들로부터 교육을 받았듯 이젠 우리가 나서서 아이들을 교육하고 섬길 차례라고 느꼈고, 그 길로 교회와 함께 유치원을 개원했다”고 말했다.
그는 “말리에서 이슬람은 종교보다는 문화에 가깝기 때문에 아이들이 어릴 때부터 다른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1998년 광명기독교학교라는 이름으로 학교 문을 열었다. 현재는 초등학교와 중학교도 운영 중”이라고 소개했다. 학교의 교사는 모두 아프리카 출신 크리스천이다. 학비는 싼데 관할 교육청 소속 학교 중 아이들 성적은 좋아서 기독교 학교임에도 현지 학부모들에게 인기가 많다고 안 선교사는 덧붙였다. 말리 수도인 바마코에 있는 본교 외에도 지방 세 곳에 분교도 열었다.
안 선교사는 “지방 분교의 경우 마을 추장을 만나 허락을 받은 후 학비를 받지 않고 유치원과 초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다”며 “주일엔 꼭 예배를 드려 복음도 함께 접하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학교를 통해 예수를 영접하고 세례를 받은 학생이 이후 자녀를 낳아 학교로 보낸 사례도 있다. 2017년 부활절엔 말리 벧엘병원이 완공됐다. 김 선교사는 “병원은 개원하면서부터 흑자인데, 병원이 교회 운영비를 자발적으로 지원하며 교회도 자연스레 자립이 됐다”고 말했다.
안 선교사 부부가 학교와 함께 세웠던 말리 한국장로교회는 현재 성도 수 70여명, 출석 성도 40~50명인데 완전히 현지인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김 선교사는 “현지인들로 구성된 교회 운영위는 최근 분립개척을 위해 시골에 2㏊(약 6000평) 땅을 샀다”며 “이슬람 국가에서 어려움이 많을 텐데도 복음의 씨앗이 하나둘 퍼지며 스스로 해나가려는 말리 교회 모습이 너무나 감사하다”고 전했다.
이들은 이제 후임자를 위해 기도하고 있다. 김 선교사는 “교회가 선교사를 파송하는 교회가 되고 우리 학교 출신 학생이 교장과 교사가 되기를 기도하고 있다”며 “또 은퇴를 4년 앞두고 있는데 후임자를 구하고 싶다. 시설 관리를 맡고 하고 싶은 사역을 펼쳐나갈 사람이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안 선교사는 “서부 아프리카에 선교사가 많이 필요하나 경제적, 거리적 측면에서 파송이 버겁다. 서부 아프리카를 어루만지고 있는 하나님의 시선에 한국교회가 마음을 가졌으면 좋겠다”고 소망했다.
조승현 기자 cho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