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기간 비명(비이재명)계 인사들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한 공세를 이어갔다. 지난 총선 공천 당시 논란이 된 ‘비명횡사’에 대한 공개적인 사과 요구가 나왔고, 이르면 오는 3월로 예상되는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2심 결과에 대한 우려도 언급됐다. 친명계는 “지금은 조기 대선이 아니라 내란 종식에 집중해야 할 때”라며 이런 목소리에 반발했다. 조기 대선 현실화 가능성이 높아질수록 민주당 내 비명계와 친명계 간 대립 구도가 뚜렷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친노(친노무현)·친문(친문재인)계 적자로 꼽히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29일 “내란세력을 압도하지 못하는 제반 여론조사 지표는 우리에게 큰 숙제를 주고 있다”며 이 대표와 민주당의 자성을 촉구했다. 김 전 지사는 특히 “2022년 대선 이후 치러진 지방선거와 총선 과정에서 치욕스러워하며 당에서 멀어지거나 떠나신 분들이 많다. 진심으로 사과하고 기꺼이 돌아오실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 체제에서 불이익을 당했다고 인식하는 비명계 인사들에 대한 사과를 요구한 것으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그는 “노무현 전 대통령을 모욕하고 문재인 전 대통령을 일방적으로 폄훼했던 언행들에 대해서는 발언 당사자의 반성과 사과는 물론 당 차원의 재발 방지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문도 했다.
‘이재명 일극체제’에 대한 비판도 이어갔다. 김 전 지사는 “내란세력 단죄를 위해 필요하지만 그 칼끝이 우리 안의 다른 의견과 다양한 목소리를 향해서는 안 된다”며 “일극체제, 정당 사유화라는 아픈 이름을 버릴 수 있도록 당내 정치문화를 지금부터라도 바꿔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용진 전 의원도 30일 “윤석열이 탄핵되면 다음은 무조건 민주당이 되는 걸까. 이재명 일극체제만 극복되면 대선 승리는 따 놓은 당상일까”라며 당의 반성을 요구하는 글을 페이스북에 올렸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지난 28일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를 건드렸다. 김 지사는 “이 대표에 대한 2심 선고에서 만약 당선 무효형이 나온다면 상당히 지장은 있을 것”이라며 “지금의 지지도, 최근의 상황을 놓고 볼 적에, 또 도덕성이나 사법리스크에 대한 국민적 정서로 봤을 적에 만약 2심에서 당선 무효형이 나온다면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비명계의 이 대표 공개 저격이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자 친명계 의원들은 서둘러 이 대표 엄호에 나섰다. 양문석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윤석열 내란폭동 세력과 피 말리며 싸우는 민주당에, 당대표와 싸우겠다고 나선 극소수의 민주당원”이라고 깎아내리며 “당신들은 어디서 뭘 했는지 묻고 또 따지고 싶다”고 비판했다. 다만 당 지도부 차원에서의 대응은 자제하는 모습이다. 지도부 소속 한 의원은 “경쟁 속에서 논쟁이 벌어지는 일은 불가피하고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며 구체적인 언급을 삼갔다.
김판 이동환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