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주최하는 메이저 세계기전인 LG배가 한국기원에서 새로 만든 규정 때문에 파행으로 끝났다. 변상일 9단은 최종 3국에서 중국의 커제 9단과 맞붙어 기권승을 거뒀다.
23일 서울 성동구 한국기원 신관에서 진행한 제29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결승 3번기 최종국은 커제가 심판의 경고와 벌점 2집에 불복하면서 변상일의 우승으로 끝났다. 전날 2국에서 커제는 ‘사석(死石·따낸 돌) 관리’ 위반으로 경고를 2번 받아 반칙패를 당했었다. 이어진 3국에서 커제는 심판의 사석 위반 경고를 거부한 뒤 끝내 대국을 포기했다. 세계대회 결승에서 유례없는 반칙패, 기권패가 발생했다.
변상일은 초반 좌하귀 전투에서 커제의 돌을 잡아 일찌감치 우세한 형세를 만들었다. 불리해진 커제는 우변에서 역전을 노리며 패싸움을 벌였다. 패싸움 도중 155수로 백돌 1점을 따낸 커제가 사석 통에 돌을 넣지 않고 초시계 옆에 놓은 게 문제였다. 사석 2개가 밖에 나와 있는 상황을 파악한 커제가 재빨리 돌을 주워 사석 통에 넣었지만, 몇 수가 진행된 뒤 심판이 다가와 커제에게 경고와 벌점 2집을 선언했다.
전날 사석 관리 실패로 2차례 경고를 받아 반칙패를 당했던 커제는 3국에서도 경고를 받자 심판에게 거세게 항의했다. 한국기원은 2시간이 넘도록 중국 측을 설득하며 대국을 이어가려 했지만, 커제는 받아들일 수 없다며 대국장을 떠났다.
커제는 지난해 11월 개정한 한국 바둑경기 규정의 제4장 벌칙 제18조 경고 조항 중 ‘사석을 통의 뚜껑에 보관하지 않는 경우’와 제19조 반칙 조항 중 ‘경고가 2회 누적된 경우’에 해당했다. 최종국 심판을 맡은 손근기 5단은 “커제 9단이 155수에서 사석을 뚜껑에 보관하지 않아 벌점 사유를 설명했으나 커제가 받아들이지 못하고 대국을 포기해 변상일의 기권승을 선언했다”고 설명했다. 커제는 “변상일의 착수 상황에서 심판이 대국을 중단해 시간을 벌어줄 의도가 아니었나”고 문제를 제기하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1국을 패한 뒤 2, 3국에 승리한 변상일은 LG배에서 첫 우승컵을 안았다. 2023년 춘란배 우승에 이어 통산 두 번째 메이저 타이틀을 차지했다. LG배 우승 상금은 3억원, 준우승 상금은 1억원이다.
김민영 기자 my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