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도권 주택의 매매·전세가격이 약 1~2% 정도 오를 것이란 민간 연구기관 전망이 나왔다. 인허가 실적 등 각종 주택공급 지표가 부진하고,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대책 역시 당장 효과를 보기 어려워 공급 부족 우려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은 23일 ‘건설정책저널’ 보고서를 내고 이런 내용의 ‘2025년 주택시장 전망’을 발표했다.
보고서는 올해 주택준공 전망치를 36만 가구로 지난해(44만5000가구)보다 19% 줄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착공은 38만 가구로 지난해(31만5000가구)보다 20% 늘 것으로 봤다. 고하희 건정연 경제금융연구실 부연구위원은 “착공은 2021년부터 지속 감소했다. 올해 전망치가 오른 건 기저효과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 전망의 이유로 부진한 주택 공급지표를 들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인·허가, 착공 실적은 최근 10년(2013~2024년) 평균치와 비교할 때 각각 약 60.0%, 56.8% 수준이다. 주택 공급지표가 당장 개선될지도 미지수다.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건설업계가 신규 수주에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면서다. 고 연구위원은 “주택공급 지표가 회복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의 주택공급 대책 역시 지난해부터 불거진 공급 부족 우려를 잠재우기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린벨트 해제’ ‘재건축 패스트트랙 추진’ 등의 대책은 실제 입주, 준공까지 약 8년 이상의 시일이 소요돼 당장 실효성을 갖기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또 ‘임대차 2법(계약갱신요구권·전월세 상한제)’이 올해로 도입된 지 4년을 넘기면서 임대차 시장의 불안이 가중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임대인들이 그동안 반영하지 못했던 전·월세 가격 인상분을 신규 계약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 연구위원은 “지난해 12월 누적 기준 계약이 만료되는 아파트 거래량은 전체의 10%로, 이 물량이 시장에서 차례로 거래되면 높은 가격에 계약이 이뤄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세종=김혜지 기자 heyj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