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에 이어 중국에도 다음 달 1일부터 고율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럽연합(EU)에 대해서도 관세 부과를 거론했다. 캐나다 등은 맞불 관세를 예고해 국제 무역질서를 흔드는 관세전쟁이 본격화될 조짐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대중국 관세 부과 시점에 관해 “아마도 2월 1일”이라며 “우리는 중국이 펜타닐을 멕시코와 캐나다에 보낸다는 사실에 근거해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최근 통화에서 관세 관련 대화를 나눴느냐는 질문에는 “관세에 대해선 별로 이야기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뉴욕타임스는 “중국·캐나다·멕시코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트럼프의 공약은 미국 산업에 대한 보복 조치를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날 트럼프는 멕시코와 캐나다에 다음 달 1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트럼프는 이날 유럽과의 무역 적자 문제도 거론하며 “중국만 미국을 악용하는 게 아니다. EU는 아주 나쁘다. 그들은 관세 부과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세 표적이 된 국가들은 맞대응을 거론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캐나다는 그에 대응할 것이며 모든 옵션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캐나다 제조업 중심지 온타리오주의 총리인 더그 포드는 “트럼프가 경제전쟁을 선포했다. 우리는 경제를 지키기 위해 모든 수단을 사용할 것”이라며 미국산 상품에 대해 ‘달러 대 달러’ 방식의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멕시코는 즉각적인 대응은 자제하면서도 주권을 강조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트럼프가 전날 국경 통제 등 멕시코를 겨냥한 행정명령에 서명한 것과 관련해 “멕시코 국민은 우리가 항상 우리의 주권과 독립을 지킬 것임을 확신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의 관세 위협에 대해선 “단계적으로 대응하겠다”고만 밝혔다.
트럼프가 캐나다와 멕시코부터 관세 타깃으로 삼은 것은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재협상을 위한 지렛대라는 해석도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USMCA는 2026년 재검토가 예정돼 있지만 트럼프는 더 빨리 재협상하기를 원한다”며 “트럼프는 관세 위협을 통해 자동차 관련 규정을 변경해 자동차 공장을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다시 미국으로 옮기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전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