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트럼프 행정부의 에너지 정책 기조 적극 활용해야

입력 2025-01-23 01:10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일본 소프트뱅크, 소프트웨어 기업 오라클이 미국 내에 5000억 달러(약 718조원)를 투자하는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AI시장을 주도하기 위함인데 텍사스주를 시작으로 대규모 민간 AI 데이터센터 구축에 들어간다고 한다. 취임 당일인 전날엔 ‘국가 에너지 비상 사태’를 선포하며 석유와 가스 등 화석연료 기반의 정책 운용 방침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자마자 연일 각종 에너지 정책 방향을 홍보하는 중이다.

우리 업계는 지금 ‘미국 우선주의’를 기반으로 한 트럼프노믹스에 막연한 공포감을 갖고 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에너지 정책 기조가 가리키는 지점은 원전, 전력, 조선 등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분야와 맞닿아 있다. AI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견인하려면 막대한 전력이 필요하고 이를 연결할 전력망 확충, 발전소 설치가 급선무다. 여기에 필요한 게 소형모듈원전(SMR)을 포함한 원전과 전력망 사업인데 미 동맹 중 해당 분야의 경험과 노하우를 동시에 충족시킬 곳은 한국이 첫손에 꼽힌다. 미국의 화석연료 시추 및 수출에 필요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은 한국 조선업체들이 독점한 상태여서 역시 큰 수혜가 예상된다.

이 과정에서 미국산 원유 및 가스 수입 증가는 불가피하겠지만 감수해야 한다. 지난해 수입 원유와 가스에서 미국산 비중은 각각 2, 4위로 그동안 꾸준히 늘어 큰 문제가 아니다. 중요한 건 미 정부 정책에서 피해 볼 분야의 리스크를 최소화하되 우리의 강점은 극대화하는 식의 선택과 집중이다. 특히 정책 윤곽이 드러나고 있는 미 에너지 시장을 우리 업체들이 선점하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해야 한다. 탄핵 사태의 혼란스러운 시기지만 미국과의 경제적 윈윈 기회를 넓히는 건 정부가 서두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