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권 대학들 줄이어 등록금 인상

입력 2025-01-22 18:30

광주·전남권 일부 대학이 10여 년 만에 등록금을 인상한다.

22일 지역 대학가에 따르면 광주대, 광주교대, 동신대가 잇따라 등록금을 5% 안팎으로 인상하기로 했다.

광주대는 전날 등록금심의위원회에서 5.04% 인상을 결정했다. 2011년 이후 14년 만이다. 대학 측은 재학생 복지를 위한 시설투자를 강화하고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고심 끝에 인상에 나선다고 밝혔다.

광주교대는 정원 감소에 따른 재정확충 차원에서 지역 국립대 가운데 유일하게 4.98% 등록금을 올리기로 했다.

동신대 역시 5.4% 인상할 방침이다. 동신대는 2009년 시작된 교육부 동결 기조에 맞춰 16년간 등록금을 소폭 낮추거나 동결해왔다. 교육 환경 개선과 우수 교수 확충에 등록금 인상분을 집중 투자하겠다고 설명했다.

광주여대와 송원대는 오는 24일과 다음 달 3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열고 등록금 인상 여부를 논의한다.

반면 국립대인 전남대·목포대·순천대 등은 정부 방침에 따라 올해도 등록금을 올리지 않기로 했다.

사립대 위주의 등록금 인상은 지난 10여년 동안 재정 압박에 시달려온 지역 대학의 불가피한 선택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지역 대학가에서는 “향후 신입생 유치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될지 촉각을 곤두세울 수밖에 없다”며 “고심 끝에 내린 대학 집행부 결단이 어떤 성과로 이어질지 주목되는 상황”이라는 분위기다. 경제적 부담을 떠안게 된 학생·학부모 반발과 신입생 감소 등 후폭풍도 적잖이 우려되고 있다.

현행 고등교육법은 직전 3개 연도 평균 소비자 물가상승률 평균의 1.5배 이내로 대학 등록금 인상 폭을 제한하고 있다. 올해 인상 상한선은 5.49%다. 교육재정 지원 권한을 가진 교육부는 해마다 대학 등록금 인상률을 공고하면서 그동안 물가안정을 명분으로 등록금 동결·인하 대학에만 국가장학금 혜택을 늘려왔다.

광주 모 대학 보직교수는 “강의와 연구의 질을 높이고 교육 기반에 대한 투자를 늘려 재학생 만족도를 높일 것”이라며 “지역 대학의 지속적 운영을 담보하는 돌파구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