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멕시코에 25% 관세, 내달부터”… EU, 관세 피하려면 美에너지 더 사야

입력 2025-01-21 18:59 수정 2025-01-22 00:0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고율관세 부과 방침을 확인했다. 다만 부과 시점은 ‘취임 후 즉시’가 아닌 다음 달 1일이 될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진행된 행정명령 서명식 중 “멕시코와 캐나다는 엄청난 수의 이민자와 마약이 (미국에) 들어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25%의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며 “(목표 날짜는) 다음 달 1일로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유럽연합(EU)에 대해서도 무역 적자를 거론하며 EU가 관세를 피하고 싶다면 미국산 에너지를 더 많이 수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유럽은 미국산 자동차도, 농산물도 거의 아무것도 가져가지 않는다. 미국은 유럽산 자동차와 농산물을 수입한다”며 “우리는 관세로 적자를 바로잡을 것이다. 유럽이 이를 피하고 싶다면 미국산 석유와 액화천연가스(LNG)를 사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발언에 당사국들은 대응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특히 캐나다와 멕시코는 실제 25% 관세가 부과되면 치명적인 타격이 불가피하다. 멜라니 졸리 캐나다 외무장관은 “관세 방지를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면서 “보복 조치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멕시코도 트럼프의 요구를 반영한 이민자·마약 단속 강화와 함께 보복 관세 가능성을 언급하는 투 트랙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다. EU는 더 많은 미국산 에너지를 구매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다만 트럼프는 취임 전부터 캐나다·멕시코와 함께 관세 폭탄 대상으로 지목해온 중국에 대해선 이날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다. 이를 두고 한 소식통은 블룸버그에 “트럼프가 협상 모드로 전환하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또 다른 거래를 체결하려는 열망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반면 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에 대한 고율관세 부과 등의 공약을 어떻게 이행할지를 놓고 새 행정부 내에서 여전히 격렬한 논쟁이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