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지열 설비 사업 도움되네”… 히트펌프 교체 70% 지원

입력 2025-01-21 19:16 수정 2025-01-21 19:17
서울 서초구의 한 아파트 단지의 노후 지열 설비 교체 전(왼쪽)과 교체 후 모습. 이 아파트 단지는 지난해 12월 서울시 민간 지열 설비 효율 개선 지원 사업 지원을 받아 노후 지열 설비를 교체했다. 서울시 제공

서울 송파구의 A물류단지는 사무실(7608㎡·약 2301평)과 식당가(1429㎡·약 432평)의 냉난방에 지열 시스템을 활용해왔다. 지열 시스템은 냉난방 에너지의 50%를 담당하는데, 2022년부터 고장이 잦아 제 기능을 하지 못했다.

원인은 2014년부터 사용한 주요 부품인 히트펌프의 수명이 다 된 탓이다. 히트펌프의 내용 연수는 9년이다. A물류단지는 1억원을 투자해 펌프 부속품을 수리해봤지만 고장은 반복됐다. A물류단지 관계자는 “설비를 아예 교체하는 게 맞다고 생각했지만, 수억원의 교체비용이 부담이 됐다”고 말했다.

A물류단지는 불편함을 감수하다 지난해 서울시의 ‘민간 지열 설비 효율 개선 지원 사업’을 알게됐다. A물류단지는 이 사업을 통해 히트펌프 교체 비용의 70%를 지원받았다. 1억원 정도인 30%만 직접 부담했다. 이 관계자는 “냉난방 설비가 고장이 나니 민원이 잦았다”며 “지금은 고장이 없다. 사업 만족도가 상당히 높다”고 말했다.

노후 지열 설비의 교체 수요는 계속 높아질 예정이다. 이는 2010년대 중반부터 녹색건축물 설계 기준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준이 강화되면서 시내 지열 설비 보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문제는 A물류단지의 경우처럼 고비용, 보수 미비 탓에 노후 지열 시설이 방치되고 있다는 점이다. 시가 350㎾ 이상의 민간 지열 설비에 대해 지난해 8~10월 실시한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노후 시설 16곳 중 5곳(31.3%)이 가동을 중단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건물주들은 설비를 교체하더라도 기존 EHP시스템으로 돌아가는 경향이 높다. 동일 용량 EHP시스템보다 노후 히트펌프 교체 비용이 23% 이상 더 비싸다.

시는 이점을 고려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지원 사업을 이어갈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지원 대상을 밸브·스트레이너 교체, 배관·열교환기 청소, 동파 방지를 위한 순환수 보충 등 부속 설비까지 확대한다. 사업비도 지난해 4억5000만원에서 올해 5억원으로 늘어났다.

시는 기상 이변이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지열 에너지 보급에 속도를 내고 있다. 2020년 271㎿였던 지열 보급량이 2024년 421㎿로 약 55% 증가했다.

정순규 서울시 녹색에너지과장은 “건물 에너지의 약 57%를 냉 난방으로 사용하는 만큼 서울에서 지열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최적의 방안”이라며 “앞으로 2030년까지 1GW 지열 에너지 보급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문동성 김용헌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