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누는 삶을 사는 게 행복이었는데, 생명 나눔인 장기기증으로 더 행복해졌습니다.”
평생 사회복지사로 살아온 백창전(66)씨는 2009년 가족이 아닌 완전한 남을 위해 신장을 기증하는 순수 신장 기증으로 ‘릴레이 신장이식’을 끌어냈던 주인공이다. 순수 신장 기증은 장기기증본부를 통해 가족 중에 기증자가 있어도 혈액형과 조직형이 맞지 않아 받을 수 없는 수혜자에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수혜자의 가족은 다른 환자에게 다시 신장을 기증하는 ‘신장이식 릴레이’가 이뤄지는 것이다. 백씨가 시작한 신장 기증 릴레이는 4명의 생명을 살리는 길로 이어졌다. 백씨는 21일 서울 종로구 YMCA 2층 대강당에서 열린 사랑의장기기증운동본부(이사장 박진탁 목사) 창립 34주년 기념식에서 “자연스럽게 누군가를 돌보며 나누는 삶을 살아왔고 그것이 행복이었다”며 “생명나눔 활동을 통해 더 행복해졌다”고 고백했다. 릴레이의 마지막 주자였던 유영서(72)씨는 “(당시) 아내가 신장이식을 받아야 한다는 진단을 듣고 절망했지만 교환 이식을 통해 새생명을 선물할 수 있었다”며 “요즘은 아내와 ‘감사’라는 말을 달고 산다”고 말했다. 아내 정영희(67)씨도 “남편이 자신의 몸 한쪽을 희생하며 나를 살리려 했던 마음에 감동했다”며 “서로를 돕고 살아가라는 하나님께서 우리를 짝지어 주신 이유를 깨달았다”고 전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생존 상태에서 신장을 기증한 ‘리빙도너’ 40명과 뇌사 장기기증인의 유가족 ‘도너패밀리’ 30명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장기 기증을 통해 오히려 큰 감사와 행복을 경험했다고 입을 모았다. 부부가 함께 신장을 기증한 김근묵(75)씨와 이경희(73)씨는 “살아오면서 가장 잘한 선택은 장기기증이었다”고 말했다. 엄해숙(72)씨와 그의 아들, 노명환(89)씨와 그의 아들처럼 부모와 자녀가 세대를 이어가며 나눔을 실천한 경우도 있었다. 백홍선(65) 대구활천교회 목사와 그의 동생 백정선(64)씨는 국내 유일 형제 신장 기증자다. 백 목사는 간염 병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이를 극복하고 신장 기증에 성공해 동생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2020년 사고로 뇌사 판정을 받은 아들의 장기기증을 결정한 박병호(57) 천안명문교회 목사는 “아들은 7명에게 생명을 나누고 떠나 하나님 나라의 선교사가 됐다”고 말했다.
이성희 연동교회 원로목사는 이날 감사예배에서 ‘장기기증은 참 성찬 예식입니다’(마 26:26~29)라는 말씀을 주제로 “성찬은 예수님께서 자신의 몸과 피를 나누신 사랑의 선언”이라며 “신장을 통해 이웃에게 생명을 나누는 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박진탁 목사는 “생명 나눔의 시간이 벌써 34년이 흘렀다”며 “이 시대의 진정한 영웅인 장기기증자들과 함께 앞으로도 성숙한 장기기증 문화를 이어가겠다”고 다짐했다.
김수연 기자 pro11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