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교체’보다 ‘정권연장’ 우세… 이번에도 ‘보수결집’ 영향?

입력 2025-01-21 02:26 수정 2025-01-21 02:26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0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 대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과 관련, “미국 우선주의가 가져올 변화에 대한 대응책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병주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 와중에 ‘정권 연장’ 여론이 ‘정권 교체’ 여론을 앞선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정치권에서는 보수 지지층이 과대 표집된 것이라는 해석과 정국을 주도하는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결과란 분석이 교차한다.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6~17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4명을 대상으로 차기 대선 집권 세력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집권여당의 정권 연장’이 48.6%, ‘야권에 의한 정권 교체’는 46.2%를 나타냈다. 해당 조사에서 같은 문항을 처음 집계한 지난해 12월 4주차(12월 26~27일) 이래 정권 연장이 정권 교체를 앞선 건 처음이다. 12월 4주차 때는 정권 교체가 60.4%로, 정권 연장 32.3%를 두 배 가까이 웃돌았다. 이번 조사는 무선(97%)·유선(3%)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7.8%였다.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 ±3.1% 포인트다(자세한 조사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정당 지지율은 국민의힘 46.5%, 민주당 39.0%로 집계됐다. 지난해 7월 3주차 이후 처음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오차범위 밖에서 민주당에 앞선 것으로 나왔다.

계엄·탄핵 정국에서도 정권 연장 여론에 힘이 실리는 양상을 두고 정치권에서는 다양한 해석이 나왔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에는 정권 교체 여론이 대선 때까지 지속적으로 우위에 있었다.

우선 보수가 과대 표집된 결과란 해석이 제기된다. 이번 조사 응답자 1004명 중 자신을 보수라고 답한 사람은 371명, 진보라는 응답은 226명으로 나타났다. 비상계엄 선포 직전인 지난해 11월 4주차(11월 28~29일) 조사에서는 보수(255명)와 진보(261명) 응답자 수가 비슷했지만 이후 수치가 크게 벌어진 것이다.

이강윤 정치평론가는 20일 통화에서 “정권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위기감이 보수 진영에 강하게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 역시 “여론조사에 응답하는 분들이 보수는 활성화돼 있고 진보와 중도는 비활성화돼 있다”며 “진영 간 대결에 있어서 밀리면 안 된다는 결집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보수 결집만으로는 최근의 여론조사 결과를 모두 설명하기 어렵다는 분석도 많다. 윤 대통령 체포·구속을 기점으로 대척점에 선 민주당에 대한 국민 평가가 조사에 본격 반영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정한울 한국사람연구원장은 “그간 윤 대통령의 책임을 묻는 시간이었다면 체포 이후엔 타깃의 전환이 일어나 그동안 민주당에 대해 가졌던 우려가 표출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민주당 한 의원은 “이 대표 비호감도를 향후 어떻게 희석하느냐가 민주당의 과제”라고 말했다.

민주당은 이날 ‘여론조사 검증 및 제도개선특별위원회’도 출범시켰다. 여론조사의 왜곡과 조작 가능성에 대해 검증 및 대응하겠다는 취지다. 당 상임고문단은 이날 이 대표와의 오찬에서 ‘여론조사를 겸허히 받아들여라’, ‘점령군 같은 모습 보이지 말라’고 조언했다고 한다.

이동환 박장군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