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 플랫폼 업체 피너툰이 사업 종료 사실을 일방 통보하며 이용자들의 항의가 이어지고 있다. 웹툰·웹소설 업계에서는 피너툰의 무성의한 대응이 소비자들의 불신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9일 X(구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에서는 수백 편에 이르는 웹툰 소장 내역을 인증하며 피너툰 서비스 종료에 항의하는 글이 쇄도하고 있다. 피너툰은 지난 16일 공지문에서 다음 달 28일부터 구매 작품의 이용이 불가능하다고 통보했다. 피너툰이 10여년 만에 영업을 접은 건 적자가 매년 늘고 있어서다. 2021년 이후 누적 매출액이 300억원 이상인 점을 고려하면 서비스 중단 콘텐츠의 값어치도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용자들의 항의에도 구매 작품의 부분 환불이나 서비스 유지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피너툰이 폐업 절차를 밟으면 책임을 묻기 힘들기 때문이다. 소비자단체 관계자는 “진정이 접수돼 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도 “과거에도 폐업 시 구제를 받은 사례는 드물다”고 말했다. 과거 주문형 동영상·전자책 서비스 종료 시 운영 업체에서 구매 데이터만 서비스를 계속하거나 데이터를 다른 플랫폼으로 이관한 적이 있지만, 피너툰이 협조하지 않으면 이마저도 어렵다.
웹툰·웹소설 업계에서는 피너툰의 사례가 유료 결제 이용객 증가세에 찬물을 끼얹을까 우려한다. 국내 웹툰 플랫폼의 매출액은 2018년 2616억원에서 2023년 1조4094억원으로 5배 이상 성장했다. 업계에서는 매출액의 80%가량이 개인 고객 대상 콘텐츠에서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피너툰과 같은 경우가 반복되면 이용자들의 소장 의욕이 줄어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디지털 콘텐츠 판매 시 ‘소장’과 같이 소비자에게 혼동을 줄 수 있는 표현을 금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올해부터 소비자가 구매하는 것이 소유권이 아니라 디지털 콘텐츠 사용 권한임을 명확히 알리지 않으면 ‘구매’, ‘매수’와 같은 단어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시행한다.
윤준식 기자 semipr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