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이 17일 발표한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이 39%,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36%로 나타났다. 한국갤럽 조사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이 민주당을 앞선 것은 지난해 8월 넷째 주 이후 약 다섯 달 만이다. 한 달 전과 비교하면 국민의힘은 15% 포인트나 오른 반면, 민주당은 12% 포인트가 내려갔다. 전날 발표된 엠브레인퍼블릭, 코리아리서치 등의 전국지표조사(NBS)에서도 국민의힘 지지도(35%)가 4개월 만에 민주당(33%)을 앞섰다. 두 조사 모두 12월 셋째 주에 민주당과 국민의힘 지지도 격차가 가장 컸다가 이후 폭이 좁혀졌고 급기야 이번 주에 지지율이 역전됐다는 공통점이 있다. 일시적 현상이 아닌, ‘국민의힘 우상향’ ‘민주당 우하향’의 경향성이 뚜렷해지고 있다.
현 정국이 윤석열 대통령의 독단적 비상계엄으로 촉발된 만큼 여론이 ‘계엄정당’인 여당에 비판적이고 야당에 지지세가 붙는 게 상식이다. 그러나 한국갤럽과 NBS 조사 모두 윤 대통령에 대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체포(15일) 상황이 반영됐음에도 민주당 지지도가 국민의힘에 뒤처졌다. 민주당이 탄핵 정국의 반사이익 효과를 전혀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여론의 흐름은 단순히 보수층의 결집만으로 해석할 수 없다. 거야의 독주와 전횡이 국민의 거부감을 키웠다고 봐야 할 것이다.
민주당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 이후 최상목 대행까지 수시로 흔들고 있다. 어떻게든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를 피해 조기 대선을 치르려는 속내만 보이고 있다. “윤석열 사형” 등 막말, 일반인의 카카오톡도 들여다보겠다는 오만함도 악재가 됐다. 특히 이념적 성향이 덜한 중도층과 2030 사이에서 국민의힘 지지율 상승과 민주당 지지율 하락 경향이 도드라지고 있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정쟁을 일삼고 민생을 외면한 민주당에 대한 민심의 경고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취업자는 5만2000명 감소하면서 3년10개월 만에 처음 후퇴했다.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는 88.4로 전달(100.7)보다 큰 폭으로 떨어졌다. 이에 17일 발간된 기획재정부의 ‘최근 경제동향’ 1월호에선 경기 진단이 한층 더 어두워졌다. 계엄 사태에 따른 정치 불안이 경제를 짓누르고 있는데 다수당인 민주당의 책임이 없다 할 수 있나. 정치 행태를 되돌아보기 바란다. 또 입법 권력에 걸맞게 민생 경제 법안 통과에 전력투구해 보라. 그러면 지지율 회복은 물론 수권 능력에 대한 신뢰도 얻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