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가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 등 사직 전공의를 다수 포함한 집행부 인선을 마치고 정부에 강경 투쟁을 예고했다. 김택우 의협 신임 회장은 16일 “정부가 (증원된 의대에선)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인정하고 명확한 계획과 방침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협은 이날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44명으로 구성된 43대 집행부 명단을 공개했다. 박단 대전협 비대위원장이 부회장으로 임명됐다. 대전협 전·현직 임원 5명은 상임이사진에 포진했다. 김 회장은 “의료 사태의 당사자 격인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목소리를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집행부에) 젊은 의사들의 참여를 대폭 확대했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개원의 단체라는 오명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의대 교수도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자리에 포진했다”고 말했다. 의대 증원 문제의 당사자인 전공의와 의대 교수를 전면에 내세운 것이다. 의협은 추가로 인선할 2~3명 중에 의대생을 포함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의협은 2026학년도 의대 정원 논의를 시작하려면 정부가 올해 1509명이 증원된 의대의 교육 방안을 우선 제시해야 한다는 주장을 되풀이했다. 김 회장은 “정부는 반드시 2025학년도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마스터플랜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학별 전담팀을 꾸린 교육부는 전국 39곳 의대와 협의해 학사 일정에 맞춘 교육 방안을 2월 초까지 마련할 예정이다.
다만 의료계에선 의협 내 전공의 입김이 커진 데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전공의단체는 의·정 갈등이 불거진 지난해 2월 ‘의대 증원 철회’ 등을 담은 요구안을 내놓은 뒤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의료계 관계자는 “의협이 이전 집행부처럼 증원 철회 같은 이야기만 반복해선 국민적 공감대를 얻기 어렵다”며 “전공의 편만 들기보다 의료계 내 합리적인 의견을 모으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 사직 전공의는 “박 비대위원장이 의협을 통해 단일대오를 도모할 것”이라면서 “더는 의료계 내부 갈등이 있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