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35% 민주 33%… 계엄사태 이후 정당 지지도 첫 역전

입력 2025-01-16 18:56 수정 2025-01-16 19:02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6일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박 원내대표는 국민의힘이 계엄 사태 진상 규명을 위한 자체 특검법안을 서둘러 발의해 달라고 요청했다. 최현규 기자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처음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더불어민주당보다 높게 나온 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오차범위 내 접전이기는 하지만, 최근 각종 조사에서 양당 지지율 격차가 줄어드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어 정치권에서는 다양한 해석이 나왔다. 민주당은 보수층 결집에 따른 과대표집의 결과라며 의미를 축소하는 분위기지만,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민심의 흐름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4개 여론조사 업체가 지난 13~15일 전국 18세 이상 10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국지표조사’(응답률 19.6%,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35%,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33%로 집계됐다. 조국혁신당은 8%, 개혁신당은 3%를 기록했다. 지지 정당이 없다는 답변은 17%였다.

같은 조사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이 민주당보다 높게 나온 건 지난해 9월 4주차 조사 이후 3개월여 만이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 직후인 지난달 3주차 조사에서는 민주당이 39%, 국민의힘이 26%를 기록, 지지율 격차가 13% 포인트까지 벌어졌는데 한 달 만에 역전된 것이다(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민주당은 이 같은 크로스 현상의 주요 원인을 보수 결집으로 본다. ‘박근혜 탄핵 트라우마’를 경험한 보수층이 또다시 정권을 내줄 수 없다는 위기의식으로 똘똘 뭉치고 있다는 것이다. 민주당 지도부 관계자는 “보수층이 결집하는 기류는 맞지만, 계엄에 찬성하거나 윤 대통령 탄핵에 반대하는 여론까지 높은 건 아니다. 여론조사 결과에 일희일비할 필요가 없다”며 “지금은 오로지 정공법으로 윤 대통령 탄핵 인용을 통한 내란 종식에 집중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다만 민심 이탈의 원인을 민주당 내부에서 찾아야 한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익명을 요구한 여론조사 기관 관계자는 “민주당의 독단적 태도에 실망한 ‘약한 지지층’이 이탈한 것으로 보인다”며 “‘남 탓’만 할 게 아니라 당 차원에서 굉장히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이번 조사 결과에서도 민주당이 중도층을 다 흡수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중도층에서 윤 대통령 탄핵 찬성은 71%에 달했지만, 민주당 지지율은 34%에 그친 것이다. 중도층의 국민의힘 지지율은 24%였다.

당내 일각에서는 강경 일변도의 원내 전략에 대한 회의론도 나왔다. 한 관계자는 “탄핵과 특검, 쟁점 법안 등 당이 계속 일방적으로 밀어붙이기만 했다”며 “이제는 여당과 대화를 통해 사태를 수습할 국면”이라고 말했다. 여당 소속인 홍준표 대구시장은 “윤 대통령 탄핵 국면인데도 정당 지지도가 바뀌는 것은 우리가 잘했다기보다 민주당의 입법 내란 폭주가 더 큰 영향을 끼쳤다고 봐야 할 것”이라고 페이스북을 통해 평가했다.

김판 이동환 기자 pan@kmib.co.kr